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반응형

2025/05/16 8

드럼? 릴? 박스? 케이블 포장 방식별 장단점 총정리 - 물류 계산과 포장 방식 #20.

포워더나 창고 쪽에서 종종 듣게 되는 질문“이건 드럼 포장인가요, 릴인가요?”“팔레트 몇 장 나와요?”“벌크 포장이면 CBM 어떻게 나올까요?”케이블, 전선류는 제품 특성상 권취(감아서 포장)하는 경우가 많은데,이걸 어떤 방식으로 감고, 포장하느냐에 따라 물류 흐름과 비용이 확연히 달라진다.이번 편에서는 대표적인 포장 방식들을 실무 기준으로 정리해본다.🪵 1. 드럼 포장 (Cable Drum)가장 대표적인 케이블 포장 방식큰 목재 드럼에 감아서 운송 (보통 전력 케이블, 고중량 제품에 사용)소재목재, 합판, 철제 등특징고중량용, 현장 설치에 유리단점무게 큼 / 적재 효율 낮음 / 포장비용 높음실무 팁CBM 계산 시 드럼 외경 기준 + 여유 공간 포함일부 항공/트럭은 드럼 고정 장치 없어 운송 제한 발생..

🏭 생산팀의 BOM부터 작업지시, 실적 보고까지 흐름 정리 - 공정 흐름 #07.

생산팀은 계획을 현실로 구현하는 부서입니다.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정해진 시간, 품질, 수량에 맞게 만드는 역할이죠.이번 포스팅에서는 생산팀이 실제로 수행하는 핵심 업무 흐름즉, BOM 분석 → 작업지시 → 생산 → 실적보고까지의전체 과정과 관련 문서를 상세히 정리해드립니다.📌 생산팀 업무 전체 흐름 요약[BOM 검토] → [자재 준비] → [작업지시서 발행] → [작업 착수] → [공정 중 점검] → [생산 완료] → [실적 보고]🗂️ 단계별 프로세스 정리단계주요 내용주요 문서담당자1. BOM 검토생산 자재 구성 확인BOM 리스트생산계획팀2. 생산계획 수립일정별 생산량 배정생산계획표생산관리3. 작업지시 발행라인 별 일일 지시작업지시서 (WO)생산관리4. 자재 확인재고 or 창고에서 자재 준비자재출고..

하네스(Harness) 재작업 기준과 불량 유형별 대응법 / 놓치면 손해, 실무 리커버리 가이드 - 하네스 생산 공정 #19.

🚫하네스(Harness) 재작업 기준과 불량 유형별 대응법현장에서 하네스를 만들다 보면 완벽하게 통과되지 않는 작업물이 반드시 발생합니다.하지만 “그냥 다시 만들면 되지”라는 접근은 너무 비효율적이죠.이번 편에서는 재작업 가능한 기준, 불량 유형별 대응 방법, 재작업 후 검사 요령까지실무자가 꼭 알아야 할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하네스 재작업이란?재작업(Rework)은 하네스 생산 중NG 판정된 제품을 다시 수정·보완하여 정상품으로 되돌리는 작업입니다.대상: 전기검사 불량, 외관검사 불량, 조립 오류 등목적: 폐기 없이 품질 기준을 만족하는 상태로 복구조건: 고객 요구사항/자체 기준에 부합할 것✅ 재작업은 품질과 원가를 동시에 고려하는정확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관리되어야 합니다.🧩 2. 불..

EV 케이블 절연 색상 코드 정리 (국제 규격과 실무 적용 방식) - EV 전선 정보 #14.

🔋EV 케이블 절연 색상 코드 정리 – 국제 규격과 실무 적용 방식EV 케이블 설계에서 절연 색상(Insulation Color)은 단순한 시각적 요소가 아니라 전압/극성/신호 구분과 직결되는 중요한 규격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EVJ, EV, EVT 등 EV 케이블에 적용되는 국제 색상 규칙과 실무에서의 커스터마이징 사례를 중심으로 색상 코드 적용 전략을 정리합니다.🧪 1. 절연 색상의 실무 중요성설치 후 극성(Polarity) 식별 필요+ / – / 통신선 등 구분 실수 시 회로 손상 우려전압별 색상 규칙은 지역·표준에 따라 상이🌍 2. 국제 전선 색상 규칙 비교구분유럽 (IEC)미국 (UL/NFPA) 일본 (JIS) 접지 (Ground)녹/황 (GN/YL)녹색 (Green)녹색중성선 (Neu..

도체 사양: Tinned Copper vs Bare Copper vs CCA - 자재 용어 #05.

전선을 구성하는 가장 핵심 재료는 단연 도체(Conductor)입니다.하지만 실무에서는 도체의 종류에 따라내식성, 전도율, 납땜성, 비용 등에서 큰 차이가 나기 때문에,Tinned Copper / Bare Copper / CCA의 차이를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1. Bare Copper (연동, Bare Copper)도금 처리 없이 그대로 가공한 순수 구리선입니다. 전도성이 가장 우수하며, 다양한 전선의 기본 도체로 사용됩니다.재질순동(연동, Annealed Bare Copper)전도율매우 우수납땜성양호 (단, 산화에 주의)내식성약함 (공기 중 산화 발생)사용 예실내 고정 배선, 일반 전력선, 단가 민감 제품 등산화되면 표면이 거뭇해지고 납땜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보관이나 환경 조건..

UL1061. 소형 기기용 단심 전선의 최소 구조 해설 - 규격 정보 #69.

UL1061 – 소형 기기용 단심 전선의 최소 구조 해설오늘 정리하는 UL1061은지금까지 다뤄온 UL1007, UL2464, UL20276 등과는조금 다른 성격을 가진 전선입니다.UL1061은 소형 기기, 모듈, 커넥터 배선에 최적화된 초소형 단심 전선으로,특히 커넥터 핀헤더용 배선, 점퍼케이블 제작, PCB간 연결선 등에거의 필수처럼 사용됩니다.작지만 인증 기준은 엄격하고,VW-1 연소시험, 내전압 테스트도 모두 충족해야 하기 때문에실제 감리나 승인 과정에서도 무시할 수 없는 전선이었어요.이번 69편에서는UL1061의 구조, 정격, 도체 구성, 감리 대응 방법까지공유해보겠습니다!🧵 1. UL1061 전선이란 무엇인가?UL1061은 UL758 기준으로 등록된 AWM 전선 중,소형/초소형 단심 기기 배..

📈 LME 일일 시세 보고서 – 2025년 5월 16일자

📈 LME 일일 시세 보고서 – 2025년 5월 16일자LME (London Metal Exchange) 기준 전일 공식 정산 현금 가격 (Official Settlement Cash Prices)금속단위전일 종가 (USD)변동액 (USD)변동률 (%)구리톤9,537.50▼112.00-1.16%알루미늄톤2,468.50▲0.000.00%아연톤2,691.00▼47.00-1.72%납톤1,998.50▲0.000.00%니켈톤15,475.00▲0.000.00%주석톤32,950.00▲330.001.01%📅 기준일: 2025년 5월 15일 종가 기준🕒 기준가격: LME Official Settlement Cash Prices📌 참고: 2025년 5월 15일, 비철금속 시장은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구리는 1.16..

XLPE란? CV케이블의 핵심 절연소재 - 전선 용어 #38.

CV, CVV, CVT…이런 이름이 붙은 전선의 공통점이 뭘까요?바로 그 중심에는 XLPE,즉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재가 있습니다.오늘은 이 전력용 전선의 핵심 절연 소재인 XLPE의 특징과 실무 적용을 정리해봅니다!🧪 XLPE란?XLPE = Cross-Linked Polyethylene= 가교(架橋)된 폴리에틸렌📌 일반 PE는 열에 약하지만,XLPE는 화학적으로 분자 구조를 가교시켜→ 고온, 고전압에서도 우수한 절연 특성을 유지합니다.📦 XLPE의 주요 특징내열성90℃ (일반형) ~ 125℃ 이상 (고급형)내전압매우 우수 → 0.6/1kV 이상 전선에 적합기계적 강도우수 (충격, 인장 강함)수분 저항좋음 (건식 절연 가능)유연성보통 (PVC보단 단단함)절연 내구성장기적 안정성 뛰어남🔍 XLPE v..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