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 케이블의 Shielding 구조별 EMI 대응 전략
전기차(EV)의 고출력 전선은 주변 회로와의 전자기 간섭(EMI)을 유발할 수 있어, 전기적 노이즈 차단을 위한 Shielding 구조가 필수입니다. 특히 통신선이 내장된 스마트 충전 케이블이나 고속 충전 회로에서는 차폐 품질이 안전성과 성능에 직결됩니다.
이번 편에서는 EV 케이블에 사용되는 주요 차폐(Shielding) 구조와 그 실무 적용 전략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1. Shielding이 필요한 이유
- EV 충전 중 발생하는 전자파(EMI)는 통신 오류, 센서 오작동, 신호 간섭을 유발
- DC 급속 충전 시 고전류 흐름 → 전자파 방출량 증가
- 통신선(Tx/Rx) 내장 케이블은 노이즈 민감도 ↑
✅ Shielding은 전자파 차단 + 외부 간섭 방지의 이중 역할
🧩 2. 주요 차폐 방식 비교
방식 | 구성 | 특징 | 적용 예시 |
Foil Shield | 알루미늄 마일라 테이프 + 드레인선 | 얇고 저가 / 고주파 차단 우수 | 통신선 중심 EV 케이블 |
Braid Shield | 구리 편조망 (90% 이상 밀도) | 기계적 강도 + 전도성 우수 | 고속충전 전원선 케이블 |
Foil + Braid | 복합차폐 | EMI + 내충격 + 유연성 보완 | 프리미엄급 충전 케이블 |
Spiral Shield | 연선 동선 나선형 감기 | 유연성 우수 / EMI 억제는 약함 | 제한적 사용 (슬림형 케이블) |
📌 EV 충전용은 대부분 Foil + Drain 또는 Braid 차폐 중심으로 구성됨
🔍 3. EV 케이블 구조 내 차폐 적용 위치
- 통신선만 부분차폐 (예: 2C x 0.5mm² 통신 라인 Foil Shield)
- 전체 케이블 단면에 Full Shield 적용 (예: 전체 Braid 편조)
- 전원선/통신선 이중 분리 + 각각 개별 Shield 구조도 존재
✅ 전원선 + 통신선 복합형 EV 케이블은 반드시 차폐 구조 사전 확인 필요
⚙️ 4. 차폐 성능 판단 기준
항목 | 기준 |
차폐율 | Braid ≥ 85%, Foil ≥ 100% 커버 |
차폐 저항 | < 1.5 Ω/km 권장 (Braid 기준) |
EMI 테스트 | EN55032 Class B 또는 CISPR 기준 적용 가능 |
✍️ 실내/실외 충전 환경에서 노이즈 발생 레벨 차이를 반영하여 선택
📚 5. 실무 적용 사례 요약
케이블 유형 | 차폐 방식 | 적용 목적 |
스마트 충전 케이블 | Foil + Drain | 통신선 노이즈 방지 |
고속충전 전원선 | Full Braid | 고전류 EMI 억제 |
하이엔드 케이블 | Foil + Braid 복합 | 전반적 전자파 대응 |
✅ Drain Wire는 접지 연결 여부 필수 확인 → 접지 미연결 시 Shield 무력화
🛠️ 6. 차폐 구조 설계 시 유의사항
- 케이블 OD 증가 고려 (Foil + Braid 병행 시 외경 증가)
- 절연체와 차폐층 간 접촉면의 접착력 확보 → 탈피 시 Shield 손상 방지
- 차폐층 피복 여부와 도체 노출 방식 확인 (납땜/압착 방식에 따라 다름)
📌 차폐층은 전기적 연결(접지) 상태가 아니면 기능을 하지 않음
🧾 마무리 요약
EV 케이블의 차폐 구조는 충전 성능뿐 아니라, 통신 오류, 기기 간섭, EMI 규제 대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설치 환경에 따라 Foil, Braid, 복합 구조를 적절히 선택하고, 차폐율과 접지 연결 여부까지 체크해야 하며, 케이블 도면상에 Shield 구조 표기가 있는지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다음 편에서는 “EV 케이블의 충전 타입별 사양 비교 – AC vs DC vs V2G 전선 구조 분석”을 주제로 이어가겠습니다.
EV 케이블의 충전 타입별 사양 비교 (AC vs DC vs V2G 전선 구조 분석) - EV 전선 정보 #07.
🔋EV 케이블의 충전 타입별 사양 비교AC vs DC vs V2G 전선 구조 분석EV 충전 인프라는 크게 AC 충전, DC 충전, V2G(Vehicle-to-Grid) 방식으로 나뉘며, 각각 전선 구조와 요구 조건이 다릅니다. 전원 공급 방
wiredgrafia.tistory.com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내가 요즘 공부하는' 시리즈 > EV(Electric Vehicle) 전선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EV 케이블과 커넥터 사양 호환성 (CCS1, CCS2, GB/T 구조 비교) - EV 전선 정보 #08. (4) | 2025.05.11 |
---|---|
EV 케이블의 충전 타입별 사양 비교 (AC vs DC vs V2G 전선 구조 분석) - EV 전선 정보 #07. (0) | 2025.05.11 |
EV 케이블의 다심 구조별 사양 비교와 적용 기준 - EV 전선 정보 #05. (2) | 2025.05.10 |
EV 케이블 외피 재질 비교, PVC vs TPE vs TPU - EV 전선 정보 #04. (0) | 2025.05.09 |
EV, EVE, EVT 전선 구조와 적용 분야 비교 - EV 전선 정보 #03. (0) | 2025.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