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오늘의' 시리즈/전선 용어

CVV와 VCT 둘 다 유연한데 뭐가 다를까? - 전선 용어 #09.

Wired Grafia 2025. 4. 17.

실무에서 가장 헷갈리는 전선 조합 중 하나,
바로 CVV vs VCT입니다.
둘 다 멀티코어고, 둘 다 유연하게 생겼고, 심지어 둘 다 0.6/1kV까지 커버 가능해 보이죠.
하지만 엄연히 다른 구조와 용도 차이가 있습니다.


📦 기본 정의

항목 CVV VCT
정식 명칭 Control Vinyl-Vinyl Vinyl Cabtyre Cable
절연재 PVC PVC
외피재 PVC PVC
전압등급 보통 0.6/1kV 0.6/1kV 또는 저전압
도체 구조 가는 연선 or 편조 연선 (Cabtyre 구조) – 고유연성
유연성 중간 매우 유연
굴곡 적용 정배선/고정 배선 이동형 기계·케이블 캐리어용
규격 KS C IEC 60227 KS C 3312 등

🧪 구조 차이 핵심

  • CVV는 말 그대로 컨트롤(제어)용 전선입니다.
    대부분의 산업 제어 시스템, 고정 배선에 적합해요.
  • VCT는 ‘Cabtyre’라는 이름 그대로 유연성이 매우 뛰어난 연선 구조입니다.
    반복적인 휘어짐, 이동, 진동 환경에서 사용돼요.

💡 예를 들어 로봇암, 이동식 장비, 자동화 설비엔 VCT가 필수!


🛠️ 실무 선택 팁

상황 추천 전선
제어반 내부 배선 CVV
기계 내부 고정 배선 CVV or VCT
기계 외부 이동선 VCT 필수
반복적인 굴곡/이동 있음 VCT + 추가 내구보강 (VCTF 등)

✅ 오늘의 요약

  • CVV는 고정배선용 제어선,
  • VCT는 고유연성 이동 전선
  • 겉보기에 비슷하지만 유연성, 용도에서 차이 큼

👉 다음 포스팅은
전선 용어 #10: Shield(차폐)란? – 잡음을 막아주는 은빛 보호막
차폐 구조와 역할을 깔끔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Shield(차폐)란? 잡음을 막아주는 은빛 보호막 - 전선 용어 #10.

설비나 제어 회로에서 생기는 오동작, 신호 끊김, 노이즈 간섭의 주범은 뭘까요?바로 EMI (전자파 간섭)입니다.이걸 막기 위해 전선에 입히는 은빛 보호막이 바로 Shield (차폐)입니다.🧪 Shield(차폐

wiredgrafia.tistory.com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반응형
  • 핀터레스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