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 전선의 인증 기준: UL, VDE, CCC 구조 및 시험 항목 비교
실리콘 전선은 다양한 고온, 고전압, 기계적 환경에서 사용되며, 이에 따라 국가별 인증 기준이 상이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UL (미국), VDE (독일), CCC (중국)의 실리콘 케이블 관련 주요 인증 기준과 시험 항목을 구조 중심으로 비교합니다.
🇺🇸 1. UL (Underwriters Laboratories) 기준
📌 대표 규격: UL3135, UL3239, UL3122
- 구조: 단심 연선 + 실리콘 압출 절연 (경우에 따라 유리섬유 보강)
- 시험 항목:
- 내전압 시험 (Dielectric Withstand)
- Flame VW-1 연소 시험
- 연신율/인장강도, 절연저항
- 온도 등급: 150~250℃
🇩🇪 2. VDE (Verband der Elektrotechnik) 기준
📌 대표 규격: VDE 0282-1, VDE 0250-502
- 구조: 다심 구조 + 내열 실리콘 절연 + 실드 및 외피 포함 가능
- 시험 항목:
- 열충격/열변형 시험
- Flame Test: EN 60332-1-2 적용
- 고온 환경 절연저항 시험
- 특징: 유럽 CE 연계 인증 포함, LSZH 적용 요구 높음
🇨🇳 3. CCC (China Compulsory Certification)
📌 대표 규격: GB/T 5013, JB/T 10491
- 구조: 실리콘 절연 단심 전선 또는 다심 케이블
- 시험 항목:
- 내전압, 연소성, 절연저항
- 표면 내마모성 및 유연성
- 특징: 국내 생산 + 수출 병행 시 필수 적용
📊 4. 인증 기준 비교 요약표
항목 | UL | VDE | CCC |
적용 국가 | 미국, 캐나다 | 독일, EU | 중국 |
대표 전선 | UL3135, UL3239 | VDE 0282-1 | GB/T 5013 |
Flame Test | VW-1 | EN 60332-1 | GB/T 18380 |
절연 시험 | 500V DC 이상 | 고온절연저항 | 표준 절연저항 |
비고 | 유리섬유 적용 가능 | LSZH 강조 | 국내 인증 연계 필수 |
🧾 5. 실무 설계 팁
- 수출 목적 → 대상국 인증 대응 필수
- 고온 + 연소 안전성 강조 시 → UL + VDE 복수 인증 권장
- 시험 성적서에는 온도, 전압, 연소 등급 모두 명시
📌 마무리 요약
실리콘 전선은 UL, VDE, CCC 각각의 시험 항목과 구조 기준이 다르며,
사양서와 시험성적서에 인증 명칭과 적용 규격을 명확히 표시하는 것이 실무 필수 요건입니다.
시장 진입 목적에 따라 적절한 인증 확보 전략을 세워야 글로벌 대응이 가능합니다.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반응형
''내가 요즘 공부하는' 시리즈 > 실리콘(Silicone) 전선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리콘 케이블의 산업별 주요 적용 사례와 실무 설계 포인트 - 실리콘 전선 정보 #20. (3) | 2025.06.30 |
---|---|
실리콘 케이블의 쉴딩 방식과 고온용 전자파 차폐 전략 - 실리콘 전선 정보 #18. (1) | 2025.06.25 |
실리콘 전선의 전기적 특성: 내전압, 절연저항, 유전율 기준 비교 - 실리콘 전선 정보 #17. (1) | 2025.06.23 |
실리콘 케이블의 기계적 강도 시험: 인장강도, 연신율, 내절단성 기준 - 실리콘 전선 정보 #16. (0) | 2025.06.20 |
실리콘 전선의 대표 시험 항목: 내열성, 연화점, 절연저항 기준 - 실리콘 전선 정보 #15. (1) | 2025.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