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 배선용 전선의 인장강도, 연신율 기준과 재료별 특성 비교
EV 배선용 전선은 구동, 충전, 제어, 통신 등 다양한 환경에 사용되며, 기계적 물성인 인장강도와 연신율은 구조 안정성과 신뢰성 확보의 핵심 지표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EV 전선에 사용되는 재료별 특성과 함께 국제 기준값, 설계 권장 조건을 비교합니다.
🧪 1. 인장강도(Tensile Strength)와 연신율(Elongation)의 정의
- 인장강도: 전선 절연/외피가 찢어지기 전까지 버티는 최대 응력 (단위: MPa)
- 연신율: 인장 시 늘어난 길이의 비율 (%) → 유연성/내마모성과 직결
📊 2. 대표 재료별 특성 비교
재료 | 인장강도 (MPa) | 연신율 (%) | 특징 |
XLPE | 12~20 | 150~300 | 열경화형 절연, 고온 내열 |
Silicone | 6~10 | 200~500 | 고유연성, 내열성, 저인장 |
FEP | 20~28 | 200~300 | 불소수지, 고내화학성 |
PVC | 15~25 | 150~250 | 경제성, 범용 전선 |
TPE-E | 10~20 | 200~350 | 유연+기계강도 균형형 |
🌐 3. 국제 기준 요구사항 예시 (UL / ISO)
- UL758 (AWM 전선 기준): 연신율 100% 이상, 인장강도 10MPa 이상
- ISO 6722-1 (자동차용): 연신율 100~150%, 고온 후 유지 필수
- SAE J1128: 절연재 성능 보증을 위한 물성 유지 조건 제시
🛠️ 4. 설계 시 고려 사항
- 도체+절연 조합에 따라 최종 인장·연신 특성이 달라짐
- 고속 충전선 → 연신율보다 인장강도 중심 설계
- 하네스 배선 → 고유연성 및 연신율 확보 우선
- 커넥터 몰딩 근처 → 인장강도 + 복원력 요구
🧾 5. 시험 방법 요약
- 📌 IEC 60811-501: 인장강도 및 연신율 측정법
- 📌 시험편: 절연/외피 시편, 온도 23℃ 기준
- 📌 속도: 250mm/min, 시험기 전용 클램프 사용
📌 마무리 요약
EV 전선 설계 시 재료별 기계적 물성 차이를 이해하고,
인장강도와 연신율의 균형을 용도에 맞게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UL, ISO, SAE 규격과 실무 시험 데이터를 함께 검토하여
배선 안전성과 수명 신뢰성 확보를 달성하세요.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반응형
''내가 요즘 공부하는' 시리즈 > EV(Electric Vehicle) 전선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EV 고속 충전용 케이블 구조 분석 및 수냉식 설계 포인트 - EV 전선 정보 #24. (1) | 2025.06.16 |
---|---|
EV 전선의 외피 소재 비교: XLPE, TPE, LSZH 적용 전략 - EV 전선 정보 #23. (0) | 2025.06.12 |
EV 전선의 수명 예측 기준과 열화 요소 분석 - EV 전선 정보 #21. (3) | 2025.06.05 |
EV 케이블 시장 주요 트렌드 및 차세대 개발 방향 - EV 전선 정보 #20. (2) | 2025.06.02 |
EV 케이블의 색상 규정 및 회로 식별체계: SAE, IEC, OEM 기준 비교 - EV 전선 정보 #19. (0) | 2025.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