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반응형

케이블포장방식 2

전선 제조공정 총정리 (압출, 연선, 시험까지 한눈에 보기) - 전선 생산, 설계 #40.

“케이블은 그냥 말아서 나오는 줄 알았는데…” 생각이 바뀌는 순간전선을 오래 만지다 보면 한 번쯤 이런 궁금증이 생깁니다:“이건 대체 공장에서 어떻게 만드는 걸까?”저도 처음엔 “구리선에 고무 입히는 거 아닌가?” 정도로 막연하게만 알았는데요,공정을 하나하나 살펴보니도체 가공, 연선, 압출, 냉각, 시험, 절단, 포장까지 단계마다 기술이 꽤 정교하게 들어간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이번 글에서는전선의 일반적인 제조 공정을 순서대로,핵심 장비와 주의 포인트 중심으로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1️⃣ 도체 가공 (Drawing)목적동봉 또는 동판을 원하는 굵기로 가늘게 늘림장비연속 인발기 (Drawing Machine)포인트인장력, 표면 균일성, 연신율 관리 중요📌 8mm 동봉 → 1.0mm, 0.5mm 등으로 ..

케이블 포장단위별 단가 비교 (릴, 코일, 커팅의 차이) - 전선 원가 #28.

같은 CVV 2.5SQ라도 포장 단위 따라 단가가 달라진다?전선은 기본적으로 ‘m당 단가’로 거래되죠.하지만 실무에서는 단순히 1m당 얼마냐보다“어떤 포장 단위로 출고되느냐”에 따라 단가가 크게 달라집니다.이번 글은 릴(R/L), 코일(Coil), 커팅(Cutting)세 가지 포장 방식의 단가 구조를실제 견적 기준으로 비교 정리해봤습니다.📦 전선 포장 방식 정리방식정의일반 포장 길이릴 (R/L)나무 or 플라스틱 축에 감아 출고300~1,000m코일손으로 들 수 있는 묶음 형태100m커팅지정 길이만큼 절단 후 출고1~50m📎 일반적으로 릴 > 코일 > 커팅 순으로 단가가 상승합니다.💲 단가 비교 예시 (CVV 2C x 2.5 기준)포장 방식평균 단가 상승율릴 (300m 이상)기준코일 (100m)+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