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반응형

전선원가 2

전선 단가 산정에 사용하는 LME 구리가격 보는 법 - 전선 원가 #25.

구리가격만 보면 전선단가의 흐름이 보입니다전선 견적서를 보면 종종 등장하는 문구:"동 시세 적용","LME 기준 + @단가","구리 톤당 8,500 USD 기준" 등처음엔 이게 뭔 소린가 했지만,알고 보니 전선의 단가 70% 이상이 구리가격(LME)에 따라 결정되더라고요.이번 글에서는LME 구리가격을 직접 조회하는 방법 + 단가 산정 시 어떻게 적용하는지실전 위주로 정리해봤습니다.📍 LME란?LME = London Metal Exchange (런던금속거래소)전 세계 비철금속(구리, 알루미늄, 아연 등) 거래 기준우리나라를 포함한 대부분 케이블 업체는LME 구리가격 기준으로 전선 단가를 책정합니다. '기타 실무 관련 정보/일일 LME 시세' 카테고리의 글 목록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Wired G..

전선 원가의 70%는 도체다 / 원자재 비중과 가격 구조 - 전선 기초 #22.

가격 차이의 90%는 ‘구리 무게’에서 결정납니다전선 가격이 계속 변동하는 이유,“구리 가격 때문에…”라는 말, 자주 듣습니다.저도 처음엔 도체 외에도 절연체, 인증, 포장 등 다양하게 비용이 들 텐데,왜 구리 하나만으로 가격이 크게 오르내리는지 의아했는데요…실제로 전선의 원가 구조를 뜯어보니70~80%가 도체(구리) 가격으로 결정되더라고요.이번 글은 케이블의 원가 구성과,원자재 비중 + 시세 반영 방식까지 실무 관점에서 정리해봤습니다.📊 전선 원가 구성 비율 (기본형 케이블 기준)구성항목 비중 (%)내용도체(Cu)65~75%구리 무게에 따라 변동절연체10~15%PVC, XLPE, 고무 등외피5~10%유연성/보호 목적차폐층0~10%CVVS, RS485 등 구조 포함 시포장/작업비3~5%릴, 코일, 커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