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반응형

전선길이관리 2

스트리핑(Stripping) 공정 기준과 주의사항 / 피복 벗기기의 기술 - 하네스 생산 공정 #12.

🧰스트리핑(Stripping) 공정 기준과 주의사항 / 피복 벗기기의 기술하네스 공정에서 스트리핑(Stripping)은 작지만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절연 피복을 너무 짧게 벗기면 크림핑 불량,너무 길게 벗기면 전선 노출로 인한 쇼트 위험이 발생하죠.이번 편에서는 스트리핑의 정의, 공정 기준, 장비 종류, 실무 노하우를 정리해보겠습니다.🔧 1. 스트리핑이란?스트리핑은 전선 끝단의 피복을 일정 길이만큼 벗겨내는 작업입니다.크림핑 또는 납땜을 위해 도체(구리선)를 노출시키는 과정이죠.피복이 벗겨진 길이를 “스트리핑 길이”라고 부름일반적으로 3mm ~ 5mm가 표준사용 단자 사양에 따라 길이가 다름✅ 스트리핑은 단자 결합의 기반이 되는 핵심 작업입니다.🧰 2. 스트리핑 장비 종류장비 종류설명사용 환경수동..

자투리 전선 활용법, 짧은 재고가 자산이 되려면 - 전선 원가 #27.

잘만 관리하면 ‘남는 전선’이 아니라 ‘예비 자산’이 됩니다현장에서 전선을 시공하고 남은 짧은 전선들,창고 구석에서 뒹굴거나“버릴까… 남겨둘까…” 고민되는 경우 많으시죠?저도 처음엔 자투리 전선은 그냥 처분하는 게 나을 줄 알았는데,지금은 오히려 단가도 높고, 시공대응도 빠른 ‘준비 자산’이라는 걸 실감하고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실무 중심으로자투리 전선의 정의, 활용법, 관리 포인트를 정리해봤습니다.✂️ 자투리 전선이란?표준 포장 단위 미만의 남은 전선예: 300m 릴 중 38m 남은 CVV,100m 코일 중 12m 남은 VCTF자투리 종류기준 길이릴 잔량30~80m 이하코일 잔량10~20m 이하컷팅 자재5~15m 조각📌 10~50m 사이 전선이 제일 애매하고,잘만 보관하면 소량 프로젝트 대응용으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