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오늘의' 시리즈/전선 용어

단선(Solid) vs 연선(Stranded) 도체 구조가 왜 중요할까? - 전선 용어 #32.

Wired Grafia 2025. 5. 10.

전선을 잘라보면 어떤 건 구리심 한 가닥,
어떤 건 가느다란 실선 여러 가닥이 꼬여 있죠.
이 차이가 바로 단선(Solid)과 연선(Stranded)의 구분입니다.
오늘은 이 둘의 구조적 차이, 장단점, 그리고 실무 적용 포인트를 정리해볼게요.


🧪 단선(Solid)이란?

  • 단일 도체로 구성된 전선
  • 일반적으로 구리선 한 가닥
  • 절연재로 감싸면 끝!

📦 대표 예:

  • 건축용 배선선 (IV, VVF 등)
  • 컨트롤 박스 내부 고정 배선

🧪 연선(Stranded)이란?

  • 가느다란 구리선 여러 가닥을 꼬아 만든 구조
  • 유연성이 높고, 피복도 더 부드러움

📦 대표 예:

  • VCT, VCTF, H07RN-F, CVV, UL1007 등

📊 단선 vs 연선 비교

항목 단선 (Solid) 연선 (Stranded)
구조 한 가닥 도체 여러 가닥 도체 꼬임
유연성 낮음 (딱딱함) 높음 (잘 구부러짐)
내구성 설치 후 안정적 반복 구부림에 강함
가공성 쉬움 (터미널 삽입 편리) 압착단자 필요 경우 많음
적용 고정배선, 전등선 기계, 콘트롤, 이동장비
가격 약간 저렴 상대적으로 높음

🛠️ 실무 적용 팁

  • 제어반 고정 배선, 콘센트 배선: 단선 사용 많음
  • 기계 내부, 이동형 케이블: 연선 필수
  • 압착 단자 사용 시 → 연선이면 반드시 압착 소켓 함께 사용 권장
  • 단선은 진동 환경에서는 피해야 합니다 (피로파괴 우려)

💬 추가 정보: 연선 가닥 수?

  • Class 2: 연선 (굴곡성 낮음)
  • Class 5: 연선 (일반 유연 전선용)
  • Class 6: 고유연 (로봇케이블, 반복 구부림 대응)

📌 케이블 사양서에 "도체 구조 Class 5"라고 쓰여 있으면
연선임을 의미합니다!


✅ 오늘의 요약

  • 단선 = 고정 설치에 적합, 저렴하고 가공 쉬움
  • 연선 = 유연하고 반복 사용에 강함, 이동형/제어 배선용
  • 구조에 따라 전선 선택 기준이 완전히 달라진다!

👉 다음 포스팅은
전선 용어 #33: IV, VCTF, CVV – 자주 쓰이는 전선 기호 해석
우리가 많이 접하는 전선 모델명 약어들의 뜻을 모아서 설명해드릴게요!

 

IV, VCTF, CVV (자주 쓰이는 전선 기호 해석) - 전선 용어 #33.

전선 공부를 하다 보면 모델명으로 시작하는 약어가 정말 많습니다.IV, VCTF, CVV, H07RN-F, UL1007…익숙하지만 정작 정확히 뭘 의미하는지 헷갈릴 수 있어요.오늘은 실무에서 자주 접하는 대표 모델 3

wiredgrafia.tistory.com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반응형
  • 핀터레스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