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선 공부를 하다 보면 VCTF, VFF, VTF, VFFS 등 비슷한 이름의 코드류가 등장합니다.
그중에서도 오늘 소개할 VFF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정말 흔하게 쓰이는 가전 플러그 코드용 2심 전선이에요.
🧪 VFF란?
VFF = Vinyl-insulated Flexible Flat cord
- V: PVC 절연
- FF: Flat & Flexible (납작하고 유연한 코드)
📌 구조 구성:
(1) 연선 도체
(2) 각 도체에 개별 PVC 절연
(3) 외피 없이 2심 납작한 형태로 압착 구성
💡 외피 없이 2가닥 절연선이 나란히 붙은 구조
플러그 제작 시 아주 흔하게 쓰이는 형태입니다!
📦 주요 특징
정격 전압 | 300V |
정격 온도 | 60℃ |
심선 수 | 2심 고정형 (2C) |
외피 | 없음 (단일 절연만 있음) |
유연성 | 우수 |
사용 환경 | 실내용, 플러그 배선 |
절연 색상 | 흑/백, 흑/회 등 |
🛠️ 실무 적용 예시
- 탁상 조명, 스탠드, 전기장판 플러그 연결선
- 가정용 소형 전열기구 코드선
- 선풍기, 라디오, 공기청정기 등 저전력 가전제품
📦 대표 스펙:
- VFF 2C × 0.75sq
- VFF 2C × 1.0sq
🔍 VFF vs VCTF
항목 | VFF | VCTF |
구조 | 2심 납작 코드 (외피 없음) | 2~4심 원형 코드 (PVC 외피 있음) |
유연성 | 높음 | 높음 |
기계적 보호 | 약함 (외피 없음) | 우수 (외피 있음) |
사용 환경 | 가정용 소형 기기 | 사무/산업용 이동 기기 |
가격 | 저렴 | 중간 |
💡 VFF는 벽에 고정하거나 움직임이 적은 장비에 최적이에요.
✅ 오늘의 요약
- VFF = 2심 납작 코드형 전선, 외피 없이 절연만 적용
- 가정용 소형 전기제품 플러그에 가장 흔히 쓰임
- 가격 저렴 + 시공 간편, 실내용에서 최적
👉 다음 포스팅은
전선 용어 #31: 전선 심선 색상 규정 – 흑/백/녹은 다 이유가 있다?
각 전선의 도체 색상은 왜 정해져 있는지, 실무 색상 규정을 다뤄보겠습니다!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오늘의' 시리즈 > 전선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VVSB란? 복합 차폐형 제어선의 끝판왕 - 전선 용어 #29. (0) | 2025.05.07 |
---|---|
CVT란? 연합형 전력선의 대표격 - 전선 용어 #28. (2) | 2025.05.06 |
VCTF란? 소형 전기기기용 유연 전원선 - 전선 용어 #27. (0) | 2025.05.05 |
CVVS란? 차폐형 제어선의 스탠다드 - 전선 용어 #26 (0) | 2025.05.04 |
CVV란? 제어반 배선의 단골 전선 - 전선 용어 #25. (0) | 2025.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