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내가 요즘 공부하는' 시리즈/테플론(Teflon) 전선 정보

테플론 전선의 유전체 강도, 유전율, 고주파 특성 시험 해설 - 테플론 전선 정보 #15.

Wired Grafia 2025. 6. 19.

🧯Teflon 전선의 유전체 강도, 유전율, 고주파 특성 시험 해설


Teflon 전선은 단순히 고온 내성만이 아닌 고주파 신호 전달의 안정성에서도 뛰어난 성능을 보여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Teflon 전선의 전기적 특성을 좌우하는 세 가지 핵심 항목인 유전체 강도 (Dielectric Strength), 유전율 (Dielectric Constant), 고주파 손실률 (Dissipation Factor)에 대해 실무 중심으로 해설합니다.


⚡ 1. 유전체 강도 (Dielectric Strength)

📌 정의: 절연 재료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전압 (kV/mm)

  • PTFE 기준: 약 60~100 kV/mm
  • PFA/FEP: 약 40~80 kV/mm
  • 시험 방식: 규정 전압을 절연층에 인가 → 파괴 여부 확인

📈 2. 유전율 (Permittivity, Dielectric Constant)

📌 정의: 전기장 내에서 절연체의 전하 저장 능력 (εr)

  • PTFE: 약 2.1, FEP/PFA: 약 2.0~2.2
  • 기준: 1MHz 또는 1GHz 주파수 기준 측정
  • 중요성: 유전율이 낮을수록 고주파 손실 적고, 통신용에 유리

📉 3. 손실 계수 (Dissipation Factor, tan δ)

📌 정의: 절연체에서 전기 에너지가 열로 손실되는 정도

  • PTFE: 0.0002 이하 (1MHz 기준)
  • FEP: 약 0.001 이하
  • 기준: 고속 신호 전송 시 이 값이 클수록 신호 왜곡 발생

📊 4. Teflon 전선 전기적 특성 요약표

재질 유전체 강도 (kV/mm) 유전율 (εr) 손실 계수 (tan δ)
PTFE 60~100 2.1 ≤ 0.0002
FEP 40~70 2.1~2.2 ≤ 0.001
PFA 50~80 2.0~2.2 ≤ 0.001

📎 5. 실무 적용 사례

  • 📡 고주파 통신선: PTFE 절연 → 낮은 유전율로 손실 최소화
  • 🔬 의료 데이터선: PFA/FEP 사용 → 절연 + 고청정도
  • ⚙️ 고전압 기기: 유전체 강도 70kV 이상 확보 필수

📌 마무리 요약

Teflon 전선의 성능은 단순한 내열성이 아니라 전기적 정밀성까지 포함됩니다.
유전율, 유전체 강도, 손실 계수는 통신·항공·계측 장비에서 필수 확인 항목이며, 고주파 대응 전선 사양서를 설계할 때 반드시 시험 기준값을 포함해야 합니다.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반응형
  • 핀터레스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