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P/PTFE/PFA 전선의 절연 두께 비교와 OD 설계 응용 사례
Teflon 전선은 고온 환경과 내화학성이 요구되는 설비에서 많이 사용되며, 절연 두께와 외경(OD)은 그 성능과 적용성에 직결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FEP, PTFE, PFA 전선의 절연 두께 특성 차이와 그에 따른 OD 설계 전략 및 적용 사례를 정리해 실무에 바로 쓸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 1. Teflon 전선의 재질별 절연 특성
재질 | 절연 내전압 | 내열 온도 | 유연성 | 내화학성 | 적용성 |
PTFE | ★★★★★ | -190~+260℃ | 보통 | 최고 | 항공/반도체 |
FEP | ★★★★☆ | -100~+200℃ | 우수 | 우수 | 의료/측정기기 |
PFA | ★★★★★ | -100~+260℃ | 낮음 | 최고 | 고압배선/화학설비 |
📐 2. 절연 두께에 따른 OD 설계 비교
도체 규격 | 재질 | 절연 두께 | 예상 OD | 특이사항 |
AWG26 | FEP | 0.20mm | 1.3mm | 의료용, 탈피 용이 |
AWG24 | PTFE | 0.30mm | 1.6mm | 고온용, 구조 견고 |
AWG22 | PFA | 0.45mm | 2.0mm 이상 | 고압용, 강한 피복층 |
⚠ FEP는 얇고 가공성이 좋아 OD를 줄이기 쉬우며, PTFE/PFA는 절연층이 단단하고 두꺼워 OD가 커지는 경향
🔍 3. 절연 두께 선정 기준
- ✅ 내전압 요구 시 → 두꺼운 절연 필요 (UL1332, 3239 등 적용)
- ✅ 초소형 설계 시 → 얇은 FEP 절연 추천
- ✅ 굽힘 반복 환경 → 절연이 너무 두꺼우면 오히려 취약
- ✅ EMI 차폐병행 구조 → 절연/차폐/외피 간 OD 총합 고려 필요
🧾 4. 실무 응용 사례
🏥 의료기기 신호선
→ FEP 사용, OD 1.2~1.5mm, 유연성 중시, 얇은 절연 적용
🛫 항공기 센서 배선
→ PTFE + 차폐 구조, OD 2.0 ~ 2.5mm, 절연 0.3 ~ 0.4mm
🧪 고압시험 장비
→ PFA 절연 0.4mm 이상, OD 2.5mm~, 절연 파괴 방지
📊 5. 절연 두께에 따른 OD 조정 팁
조건 | 권장 설계 기준 |
공간 제약 있음 | FEP 0.15~0.20mm, 도체 AWG26 이하 사용 |
고온 + EMI 환경 | PTFE 0.3mm 이상 + 차폐 구조 적용 |
내화학/고압용 | PFA 0.4mm 이상, OD 2mm 이상 확보 |
📌 마무리 요약
Teflon 전선의 절연 두께는 단순한 피복이 아닌 내열, 내압, 유연성, 가공성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변수입니다.
설계 시에는 도체 굵기 + 절연 두께 + 차폐 여부 + 외피 유무를 함께 고려하여 OD를 결정해야 하며, UL Style 번호 확인과 시험 성적서 데이터 확보가 필수입니다.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반응형
''내가 요즘 공부하는' 시리즈 > 테플론(Teflon) 전선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flon 전선의 절연 색상 코드와 항공/산업 분야 식별 방식 - 테플론 전선 정보 #14. (2) | 2025.06.17 |
---|---|
테플론 전선의 고온 환경 성능과 내열 등급별 용도 정리 - 테플론 전선 정보 #13. (2) | 2025.06.14 |
Teflon Cable의 외경(OD) 설계 기준과 도체/절연비 최적화 방법 - 테플론 전선 정보 #11. (0) | 2025.06.10 |
Teflon Cable의 용도별 추천 구조 (의료, 통신, 시험장비 별 배선 설계 팁) - 테플론 전선 정보 #10. (0) | 2025.06.07 |
Teflon Cable 국제 인증서 종류와 시험 항목 해설 - 테플론 전선 정보 #09. (1) | 2025.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