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 충전 케이블의 표준 외경(OD) 기준과 가공성 분석
EV(전기차) 충전 케이블의 구조는 단순히 도체와 절연만으로 결정되지 않습니다. 특히 외경(OD) 은 충전 커넥터 호환성, 트레이 설치, 굴곡 반경, 외피 내구성 등 다양한 요소와 연결되어 있으며, 실무에서는 표준 OD 범위 안에서 충전 규격에 맞춘 최적화가 필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EVJ/EV/EVT 등의 스타일별 외경 기준과, OD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실무 포인트를 정리합니다.
📐 1. EV 케이블에서 OD(외경)가 중요한 이유
🔌 커넥터 삽입 및 체결성
- EV Plug 및 Socket 구조에 따라 OD 허용 오차가 존재 (예: 14.0 ±0.3mm)
🧱 트레이/콘두잇 배선 조건
- 트레이 내 다심 배선 시 OD가 커지면 열 누적, 피복 마찰 위험 증가
🌀 굴곡 반경
- OD가 클수록 최소 굴곡 반경(Bending Radius)도 커지며, 트렁크 배선 시 방해 요소
🧪 2. 표준 OD 예시 – UL 스타일 기준
스타일 | 정격전압 | 도체 범위 | 절연/외피 두께 | 일반 OD 범위 | 적용 예시 |
EVJ | 300V | 18~12 AWG | 0.76~1.5mm | 7~11mm | 경량 충전기 |
EVJE | 300V | 18~12 AWG | 내열 절연 포함 | 8~12mm | 실외용 |
EV | 600V | 18~2 AWG | 1.0~2.0mm 이상 | 10~18mm | 표준형 충전기 |
EVE | 600V | 18~2 AWG | 고온 내열 재질 포함 | 11~20mm | 고출력형 |
EVT | 600V | 18~2 AWG | Tray 타입 구조 | 12~22mm | 배전함-차량 간 |
📏 3. OD 설계 계산 공식 (EV 케이블 기준)
OD = 도체직경 + (절연 × 2) + (차폐 + 외피 두께)
예시:
AWG12 (2.05mm) + 절연 1.5mm ×2 + 외피 2mm = 약 8.5mm
→ 일반 EVJ 스타일에서 2.0mm² 기준 OD 예상치
🔍 4. OD가 중요한 실무 사례
- 🔌 V2G 충전 시 Plug 오삽입: OD 1mm 초과 시 체결 불량
- 🛠 Tray 배선 시 밀집 열화: 외피 마찰에 의한 손상 사례 다수
- 🧰 케이블 커팅 자동화 오류: OD 센서값 편차 발생 시 생산 불량
🧾 5. 실무 대응 체크포인트
- ✅ EVJ/EV는 OD 사양서를 반드시 기재 (± 허용값 포함)
- ✅ OD 변화에 따른 굴곡 반경 계산: 일반적으로 OD × 6 이상 확보
- ✅ OD가 커지는 경우 Tray용 EVT 스타일 고려
📌 마무리 요약
EV 케이블 설계에서 외경(OD)은 단순한 물리 크기가 아니라 가공성, 호환성, 설치성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UL 스타일별 규격에 따라 OD 범위가 달라지며, 전류 허용량이나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선 OD 설계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합니다.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반응형
''내가 요즘 공부하는' 시리즈 > EV(Electric Vehicle) 전선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EV 케이블 절연 색상 코드 정리 (국제 규격과 실무 적용 방식) - EV 전선 정보 #14. (0) | 2025.05.16 |
---|---|
EV 케이블의 연선 도체 구조: Class 5/6, 주석 도금선 적용 사례 - EV 전선 정보 #13. (0) | 2025.05.15 |
EV 충전 케이블 설계 시 고려해야 할 환경 내구성 요소 (UV, 유분, 마찰, 오존 등) - EV 전선 정보 #11. (0) | 2025.05.13 |
EV 전선의 UL 인증서 항목 해설 및 실무 적용법 - EV 전선 정보 #10. (0) | 2025.05.12 |
EV 케이블의 온도 상승 시험과 전류 허용 조건 (실측 기반 사양 이해) - EV 전선 정보 #09. (0) | 2025.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