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한눈에 보는' 전선 규격/UL 인증 정보

UL758 개요, AWM 전선 규격의 정의와 범위 - 규격 정보 #65.

Wired Grafia 2025. 5. 12.

UL758 개요 – AWM 전선 규격의 정의와 범위

최근 전선 감리 서류를 준비하다가 UL1007, UL1015, UL2468 같은 전선들을 많이 접했어요.
그런데 이 전선들, 이름도 다르고 생김새도 다른데 공통적으로 "UL STYLE 번호"가 붙어 있다는 걸 보고,
그게 UL758이라는 큰 틀 안에서 관리되는 전선이라는 사실을 처음 제대로 알게 됐습니다.

UL758은 단순히 전선의 종류를 나누는 기준이 아니라,
각 STYLE 전선이 어떤 구조로 되어 있어야 하고, 어떤 시험을 통과해야 하며, 외피에는 어떤 마킹이 인쇄돼야 하는지까지
모든 기술 정보를 정해놓은 UL의 대표 규격 중 하나더라고요.

그래서 이번 편에서는
UL758의 개요부터 STYLE 번호 체계, 실제 구성 요소, 감리 대응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할 포인트까지
정리해서 공유드릴 예정입니다.


🧱 1. UL758은 어떤 규격인가?

UL758은 미국 UL(Underwriters Laboratories)에서 제정한 규격 중
기기 내부 배선용 전선(Appliance Wiring Material, AWM)을 정의하는 공식 표준입니다.

정식 명칭 UL758: Appliance Wiring Material
적용 대상 전자기기, 장비, PCB 내부의 배선용 전선
규정 범위 구조, 절연재료, 전압/온도 정격, 시험 조건, 마킹 요건 등
인증 체계 UL Recognized Component (E-번호 부여됨)

📌 이 규격은 현장 전선 시공용(CVV, VCT 등)이 아니라,
기기 내부 회로와 회로 사이를 연결하는 배선에만 적용됩니다.


🧾 2. UL758이 관리하는 전선의 종류

UL758 아래에는 수천 가지의 전선이 등록되어 있는데,
이 전선들을 구분하는 방식이 바로 STYLE 번호입니다.

예시)

Style No. 제품명 전압/온도 특징
1007 UL1007 300V / 80°C 단심, PVC 절연, 범용
1015 UL1015 600V / 105°C 절연 두꺼움, 전원부 대응
1430 UL1430 300V / 150°C 고온 내열, 정밀회로용
2468 UL2468 300V / 80°C 다심 평형 전선
3321 UL3321 600V / 150°C XLPE 절연, 고온 고유연

📌 이처럼 STYLE 번호만 알면 그 전선의 구조, 정격, 재료, 용도까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 3. UL758의 구조적 특징 요약

UL758은 다음과 같은 기준을 STYLE별로 전부 정의하고 있습니다:

도체 AWG 단위, 연선 or 단선, 주석도금 여부
절연 PVC, XLPE, FEP, 실리콘 등
정격 전압/온도 30V~1000V, 60°C~200°C까지 다양
연소 시험 VW-1, FT1 등 적용 여부
인쇄 마킹 STYLE 번호, 정격, VW-1, 인증번호 등 필수

이 기준이 명확히 정의돼 있으니, 감리에서 요구하는 “이 전선은 어떤 시험을 통과했나?”, “외피에 뭐가 인쇄돼 있나?” 같은 질문도
전부 STYLE 문서를 열면 다 나오는 구조입니다.


🔍 4. STYLE 번호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UL758 전선은 앞서 말한 것처럼 STYLE 번호로 구분됩니다.
그런데 이 STYLE 번호는 단순한 이름이 아니라,
UL이 ‘제품 승인’ 과정을 거쳐 부여한 고유 코드입니다.

즉, 어떤 업체가 UL에 “이런 구조의 전선을 인증받고 싶습니다” 하고 제안서를 내면,
UL은 그 구조를 분석하고 시험한 뒤,
특정 번호를 부여합니다. 이게 바로 STYLE 번호입니다.

신청 주체 전선 제조업체 or 브랜드
필요 자료 구조, 도체 정보, 절연재, 공정 정보 등
시험 항목 내전압, 연소(VW-1), 인장강도, 연신율 등
부여 결과 AWM STYLE 1007, 1015, 20276 등 코드로 공개됨

📌 그래서 같은 STYLE 번호의 전선은 어디서든 동일한 성능 기준을 가진다는 게 핵심입니다.


🧭 5. UL 공식 DB에서 STYLE 정보 찾는 법

UL STYLE 번호별 전선 정보는 UL이 직접 운영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열람할 수 있습니다.

✅ 검색 경로:

  1. UL Product iQ 접속
  2. 상단 검색창에 "STYLE 1007" 또는 "AWM 1015" 입력
  3. 전선의 구조, 정격, 시험 통과 여부, 승인 제조사 리스트 확인 가능

✅ 열람 시 유의할 점:

  • UL Recognized 제품이라야 검색 가능
  • E123456 같은 승인번호로도 조회 가능
  • 영어 기반, STYLE 문서는 PDF 다운로드도 가능

📌 이 데이터는 감리 대응할 때 “정확히 어떤 기준으로 승인된 전선인지”를 제시할 수 있는 1차 자료입니다.


🔧 6. STYLE 전선과 일반 전선의 차이점

UL758은 KS, IEC 전선과는 완전히 다른 분류 방식을 사용합니다.

구분 UL758 (미국) KS/IEC (한국/국제)
분류 방식 STYLE 번호로 규정 (예: 1007) 전선 명칭으로 규정 (예: CV, CVV, VCT)
구조 정의 각 STYLE 문서에서 세부 기술 요건 정의 KS C IEC 60227 등 규격별 공통 정의
시험 기준 UL1581 + VW-1 + 개별 항목 IEC60332, KS C IEC 60811 등
인쇄 방식 전선 외피에 STYLE 번호 + 정격 필수 제조사명 + 규격명 또는 KC

📌 UL758은 같은 전선이라도 STYLE 번호가 없으면 감리 탈락 가능성이 높고,
시험 성적서와 외피 인쇄까지 모두 일치해야 정품으로 인정받습니다.


🔥 7. UL758 전선은 어떤 시험을 거치는가?

UL758 STYLE 전선들은 각각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시험을 통과해야 합니다.
하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공통적이고 중요한 시험이 바로 VW-1 (Vertical Wire Flame Test)입니다.

🔥 VW-1 연소시험 수직 고정 후 15초간 화염 5회 적용 → 60초 내 소화
⚡ 내전압 시험 규정 전압 이상에서 절연 파괴 유무 확인
🧵 연신율 시험 절연 재료의 인장 강도 및 파단 특성 측정
💡 절연저항 절연 상태에서의 누설 전류 측정
🪢 도체 저항 연선 또는 단선의 전기 저항 검증

📌 VW-1 통과 여부는 감리 승인 시 거의 필수 조건입니다.
VW-1 문구가 마킹에 찍혀있지 않으면 감리 탈락 가능성도 큽니다.


🖊️ 8. 외피 마킹 규정은 어디까지?

UL758 전선의 외피에는 다음 항목이 정확히 반복 인쇄되어야 합니다:

필수 마킹 요소 예시
STYLE 번호 STYLE 1007
정격 온도/전압 80°C 300V
연소 시험 VW-1
승인번호 E123456
제조사명 MYUNGBO 또는 약어

💬 예시 인쇄:

"AWM STYLE 1007 80°C 300V VW-1 E123456 MYUNGBO"

✅ 인쇄 간격: 약 30~60cm 간격으로 반복
✅ 감리 기준: 한 릴당 인쇄가 누락된 구간 없어야 함

📌 감리 서류 외에 실물 확인 과정에서도 마킹 확인이 첫 번째 기준입니다.
가끔 인쇄가 희미하거나 누락된 경우, 감리에서 바로 탈락 처리됩니다.


⚠️ 9. 감리에서 발생하는 주요 실수 사례

실제 감리 대응 중, UL758 STYLE 전선과 관련해서 자주 나오는 실수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실수 유형 내용 결과
STYLE 번호 없음 외피에 STYLE 미인쇄 감리 반려
VW-1 문구 누락 마킹에 VW-1 없음 시험성적서 요청
정격 오기재 105°C 대신 80°C로 표기 불일치 → 재감리
승인번호 불일치 문서: E123456, 전선: E789012 불일치로 탈락
도체 구조 불일치 설계는 17/0.16 → 납품은 단선 성능 미달로 반려

📌 감리는 “문서 → 외피 인쇄 → 성적서” 순으로 완벽히 일치해야 통과됩니다.


🧭 10. UL758 전선을 설계에 적용할 때의 기준

UL758은 단순히 시험만 통과하면 되는 게 아니라,
설계자 입장에서도 다음 요소들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항목 설계 시 고려사항
전압/온도 정격 해당 회로의 요구 전압과 온도에 맞는 STYLE 선택
도체 구성 연선/단선 여부, AWG, 유연성 고려
절연 재질 PVC, XLPE, FEP 등 환경 요인 반영
마킹 구조 외피 인쇄 가능 공간, 반복 거리
연소 기준 VW-1 요구 여부, 화재 우려 환경인지

📌 특히 "VW-1 필수 여부", "도체 유연성", "정격 300V vs 600V 선택"이
설계에서 매우 자주 고민되는 포인트입니다.


🧩 11. STYLE 번호 선택 전략 (실무형 팁)

기본 기기 내부 배선 UL1007 (300V / 80°C)
전원부, 릴레이 연결 UL1015 (600V / 105°C)
고온 정밀 회로 UL1430 (150°C)
고온 + 유연성 UL3321 (XLPE, 150°C, 유연)
평면 플랫 배선 UL2468 (2C~10C, IDC 커넥터 대응)
차폐 제어선 UL2464 (멀티코어, 외피+차폐 포함)

📌 동일한 회로라도 적용 부위, 열원 거리, 전압 스펙 등에 따라
UL758 내에서 STYLE 번호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 12. 감리 대응 체크리스트 요약

UL758 관련 전선이 감리에서 통과하려면,
다음 항목들을 무조건 한 세트로 갖춰야 합니다:

전선 샘플 마킹 인쇄 확인 가능하게 준비
시험 성적서 VW-1 포함 + 정격 시험 포함
구조 도면 도체/절연 두께, 재료 포함된 형식
UL 인증서 STYLE 번호 명시 + E-번호 포함
납품 문서 승인 도면, 전산 코드 일치 여부 검토

📌 “이 전선이 정말 UL758의 STYLE 전선인가?”
라는 질문에 대해 외피, 시험성적서, 인증서로 동시에 입증할 수 있어야 합니다.


🧶 13. 실무에서 이 규격을 어떻게 써야 할까?

UL758은 딱딱한 전선 규격 같지만,
기기 배선을 설계하거나 감리 문서를 만들 때는 정말 ‘기준서’ 같은 존재예요.

이걸 공부하면서 제가 느낀 건,
UL758은 단순히 STYLE 번호 부여 기준이 아니라
“이 전선이 어떻게 만들어졌고, 어떤 환경에서 써야 하며, 어떤 감리를 통과할 수 있는가”를 판단하는 프레임이라는 점이에요.

이제는 STYLE 번호만 봐도
“아 이건 300V / 80°C 짜리네”,
“이건 VW-1 시험 통과된 고온 전선이구나”,
“아 이거는 마킹에 E번호가 꼭 있어야겠네”
라는 식으로 전선의 스펙과 설계 활용이 떠오릅니다.


✅ 14. 정리하며 기억해둘 포인트

UL758이란? AWM 전선 전용 UL 기술 기준서
STYLE 번호란? UL이 부여한 구조·성능·시험 코드
감리 핵심 요소 STYLE + VW-1 + E번호 + 외피 인쇄 일치
설계 반영 포인트 정격, 재질, 유연성, 인증 범위
실무 추천 방식 전류량, 열 환경, 사용 목적별 STYLE 선별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반응형
  • 핀터레스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