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L3321 – 고온·유연성 특화 전선 규격 해설
“유연하고, 고온에도 강하고, 전자기기 안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전선은?”
지금까지 배운 UL1007, 1015, 1430은
각각 기기 배선, 전원 리드선, 고온 배선용 전선으로 많이 사용되었지만,
이들보다 더 유연하고, 더 높은 온도에서도 버티는 전선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바로 그럴 때 선택되는 전선이 UL3321입니다.
UL3321은 XLPE(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구조를 가진
고온·고유연성 전선으로,
정격 150°C / 600V, 그리고 높은 기계적 내구성과 곡률 유지력을 동시에 제공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UL3321의 구조, 정격, 소재 특징, 감리 요건,
그리고 실제 설계 적용 팁까지 전부 정리해보겠습니다.
🧱 1. 기본 구조
UL3321 전선은 XLPE(가교 폴리에틸렌) 절연을 적용한
고온 + 고유연성 + 고절연성 전선입니다.
구성 요소 | 내용 |
도체 | 연선 (Tinned Copper), AWG 단위 |
절연 | XLPE (Cross-Linked Polyethylene) |
정격 | 600V / 150°C |
외피 특성 | 내열성, 내절연성, 유연성 강화 |
구조 형태 | 단심 / 고유연 / 단열 |
📌 XLPE는 열가소성 PVC와 달리 고온에서 형태가 유지되며,
기계적 강도 + 유연성 + 내열성을 모두 갖춘 고급 소재입니다.
⚡ 2. 정격 전압 및 온도
항목 | UL3321 기준 |
정격 전압 | 600V |
정격 온도 | 150°C |
연소시험 | VW-1 Flame Test 통과 |
절연 두께 | 약 0.45mm 이상 |
📌 UL3321은 UL1015와 비슷한 전압 정격이지만,
온도는 45°C 더 높고, 소재도 PVC가 아닌 XLPE 기반입니다.
🧪 3. XLPE 절연 특성 요약
내열성 | 150°C 연속 사용, PVC 대비 열변형 적음 |
전기적 특성 | 유전율 낮고 절연 파괴강도 높음 |
유연성 | 반복 굽힘에 대한 내성 우수 |
내화학성 | 기름, 용제, 습기에 강함 |
연소 저항성 | VW-1 연소시험 통과, 안정적 |
📌 XLPE는 PVC보다 고급 절연 소재로 평가되며,
전장, 산업기기, 고신뢰성 기기 내부에 적합한 절연층입니다.
📏 4. 규격별 외경 및 연선 구성
AWG | 연선 구성 (예시) | 도체 직경 (mm) | 외경 (mm) | 도체 저항 (Ω/km) |
26 | 7/0.16 | 0.48 | 약 1.3 ~ 1.5 | 135 |
24 | 11/0.16 | 0.51 | 약 1.5 ~ 1.7 | 89.4 |
22 | 17/0.16 | 0.65 | 약 1.7 ~ 1.9 | 56.4 |
20 | 21/0.18 | 0.82 | 약 2.0 ~ 2.2 | 35.1 |
📌 외경은 UL1430과 비슷하거나 약간 더 두꺼우며,
절연 재질이 XLPE라서 PVC 대비 열변형이 적고 구조가 단단합니다.
🔍 5. UL1015 / 1430 / 3321 비교 요약
항목 | UL1015 | UL1430 | UL3321 |
정격 전압 | 600V | 300V | 600V |
정격 온도 | 105°C | 150°C | 150°C |
절연 재질 | PVC | 고내열 PVC | XLPE |
연소 테스트 | VW-1 | VW-1 | VW-1 |
유연성 | 중간 | 우수 | 최고 |
외경 | 굵음 | 얇음 | 중간 |
용도 | 전원리드 | 정밀기기 내부 | 고온·유연 배선 |
📌 UL3321은 UL1015의 전압 정격 + UL1430의 내열성 + UL1007의 유연성을 모두 합친
하이엔드 리드선이라 볼 수 있습니다.
🧾 6. 감리 문서 요건
항목 | 제출 여부 | 내용 |
UL 인증서 | 필수 | STYLE 3321 등록 확인 |
VW-1 시험 성적서 | 필수 | Flame Test 통과 여부 |
도체 구조 증명 | 권장 | 연선 수, AWG, 외경 포함 |
RoHS/REACH | 수출용 기본 문서 | |
규격서 | 선택 | 구조 및 특성 명기 |
📌 UL3321은 고사양 제품에 쓰이는 만큼,
설계 스펙 일치 여부 + 안전성 자료가 모두 필요합니다.
🖊️ 7. 외피 마킹 조건
필수 인쇄 | “AWM STYLE 3321 150°C 600V VW-1 E123456” |
반복 간격 | 약 30~60cm |
위치 | 전체 외피에 반복 적용 |
감리 기준 | STYLE 번호 누락, 온도/전압 오기재 시 감리 반려 가능 |
📌 UL3321 마킹은 감리 시 안전기준 및 정격 준수 여부의 1차 기준입니다.
🛠️ 8. 주요 적용 분야
분야 | 사례 |
산업기기 | 센서, 모터, 온도부 회로 |
자동차 전장 | 고온·진동 환경 내 ECU 배선 |
배터리팩 | 전류 공급선 + 온도센서 연결선 |
의료기기 | 고신뢰 정밀 회로 연결 |
통신장비 | 고주파 + 고열부 회로 배선 |
📌 좁은 공간에서 고온을 견디며, 움직임이 많은 곳이라면
UL3321이 거의 유일한 선택지입니다.
⚠️ 9. 감리 실수 사례
사례 | 문제 내용 | 결과 |
STYLE 누락 | 외피에 UL STYLE 3321 없음 | 감리 탈락 |
연소시험 성적서 누락 | VW-1 테스트 미제출 | 인증 불인정 |
도체 구조 불일치 | 설계: 21/0.18 → 납품: 17/0.16 | 허용 저항 초과 |
색상 오류 | 설계: 적/흑 → 납품: 청/흑 | 회로 혼동 가능 |
외경 과다 | 설계 Ø2.0mm → 납품 Ø2.4mm | 트레이 간섭 발생 |
📌 UL3321은 정밀 배선용이라 색상, 외경, 성적서 누락 등 아주 작은 차이도 감리 지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10. 설계 체크리스트
정격 | 600V / 150°C 설계 조건 부합 여부 |
도체 구조 | AWG, 연선 수, 저항값 확인 |
절연 두께 | 외경 대비 배선 간섭 여부 고려 |
인쇄 조건 | STYLE / 온도 / 전압 / VW-1 / 인증번호 포함 |
문서 제출 | UL 인증서 + VW-1 성적서 + 외피 마킹 샘플 |
색상 구성 | 설계서와 100% 일치 여부 |
📘 정리하며 느낀 포인트
UL3321은 단순한 전선이 아니라
고온, 고밀도, 고신뢰성 회로를 위한 맞춤형 케이블이라는 것을 느꼈습니다.
이젠 고온 유연 전선을 보면, 그 안에 있는 구조와 사양까지 자연스럽게 떠오릅니다.
📌 요약하자면:
- UL3321 = XLPE 절연 기반 고온·고유연 전선
- 정격 600V / 150°C / VW-1
- 외경은 UL1430보다 약간 크고 UL1015보다 작음
- 고신뢰성 회로에 적합하며 감리 기준도 매우 철저
- 산업, 의료, 전장, 배터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됨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한눈에 보는' 전선 규격 > UL 인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UL2468. 플랫형 다심 전선 구조 해설 - 규격 정보 #63. (0) | 2025.05.08 |
---|---|
UL1430. 고온·소형 전선의 대표 규격 해설 - 규격 정보 #61. (4) | 2025.05.06 |
UL1015. 고온용 리드선 전선 규격 정리 - 규격 정보 #60. (0) | 2025.05.05 |
UL1007. 미국 규격 기기내 배선용 전선 해설 - 규격 정보 #59. (0)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