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반응형

환경규제 2

LSZH vs FR-PVC vs HFFR 소재 비교와 선택 기준 - 자재 용어 #13.

화재 안전성과 친환경성 요구가 높아지면서,전선 업계에서는 LSZH, FR-PVC, HFFR 등다양한 난연/저독성 소재가 사용되고 있습니다.하지만 이름이 비슷해도 성능과 가격, 적용 환경은 크게 다르므로,실무에서는 정확한 구분과 용도별 선택 기준이 필요합니다.🔍 1. 각 소재의 정의 요약용어정식 명칭주요 특징LSZHLow Smoke Zero Halogen연기 적고, 염소/브롬 등 할로겐 미함유FR-PVCFlame Retardant PVC기존 PVC에 난연 첨가제 포함HFFRHalogen Free Flame Retardant무할로겐 + 난연 기능 → LSZH의 고급 버전🧪 2. 소재별 성능 비교표항목LSZHFR-PVCHFFR난연성우수양호매우 우수독성가스 발생없음다량 발생없음연기 농도매우 낮음높음낮음전기적..

소재별 RoHS / 환경규제 대응 전략 - 자재 용어 #08.

요즘 전선 설계나 수출 업무에서 빠지지 않는 질문이 있습니다.“이 전선 RoHS 대응인가요?”“이거 친환경 자재 맞죠?”오늘은 RoHS, REACH 등 주요 환경규제에 대응하는 전선 소재 전략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RoHS란 무엇인가요?RoHS (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Directive): 유럽연합(EU)의 전기전자제품 내 유해물질 제한 지침구분내용대상 품목전기전자기기, 부속품, 케이블 등금지 물질납(Pb), 카드뮴(Cd), 수은(Hg), 6가크롬(Cr6+), PBB, PBDE 등최대 허용량대부분 0.1% (카드뮴은 0.01%)적용 자재도체, 절연재, 외피, 차폐층까지 포함참고: RoHS 2.0에서는 케이블 및 와이어도 독립 품목으로 명시되어 적용 대상이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