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반응형

전기실무정보 2

전선 포장 방식 총정리 (판넬, 코일, 릴별 특성과 적용) - 전선 생산, 설계 #50.

포장도 설계다. 적절한 포장 방식이 시공성과 물류비를 결정합니다전선을 납품할 때 가장 마지막 단계에서 고민하게 되는 것이바로 이겁니다:“이 전선은 판넬로 출고할까요, 아니면 릴로 감을까요?”예전엔 “그냥 박스에 넣어 보내면 되지”라고 생각했지만,지금은 전선 포장 방식 하나로 시공 편의성, 감리 통과, 운송 안정성까지 달라진다는 걸 체감합니다.이번 글은판넬, 코일, 릴 포장의 차이와 적용 기준, 그리고 실무 선택 요령을 정리합니다.📦 전선 포장 방식 개요방식형태비고코일(Coil)둥글게 감은 뭉치100m 단위 등 소포장판넬(Pannel)나무판에 직선으로 감거나 쌓음설치 직전 배선 편리릴(Reel)나무/플라스틱 릴에 감은 형태장거리, 대용량 전선에 사용🌀 코일(Coil) 포장형태보통 100m 단위 둥근 뭉..

절연 두께 기준 정리 (KS/IEC별 최소두께 비교) - 전선 생산, 설계 #43.

절연 두께 0.6mm와 0.8mm, 이게 왜 단가에 큰 차이를 만들까?전선을 견적하거나 감리 대응을 하다 보면종종 절연 두께 0.6mm vs 0.8mm 같은 표기 차이를 만납니다.예전엔 “두꺼우면 더 좋지 않나?” 했는데, 지금은 알죠.절연 두께는 안전성과 제조 단가, 감리 통과율까지 좌우하는 핵심 사양이라는 걸요.이번 글에서는KS, IEC 등 대표 규격에서 요구하는 최소 절연 두께 기준,그리고 실무에서 이 두께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정리해보겠습니다.📐 절연 두께란?도체를 감싸 전기적 절연을 제공하는 피복층의 두께보통 mm 단위 (e.g. 0.6mm, 0.8mm)기준은 전압, 단면적, 사용 용도에 따라 결정📊 KS / IEC 기준 절연 두께 (예시)전선 종류정격 전압규격 예시최소 절연 두께 (m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