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반응형

전기시공팁 2

케이블 외경에 따라 바뀌는 단가와 배관 시공성 - 전선 원가 #26.

단면적은 같아도 외경이 달라지면 전부 바뀝니다예전에 저는 “CVV 2.5SQ는 다 똑같은 거 아닌가요?”라는 생각을 많이 했어요.그런데 막상 시공하거나 견적서를 비교하다 보면같은 규격인데 어떤 건 선이 두껍고, 어떤 건 얇고 유연한 거예요.왜일까요?정답은 외경(Outer Diameter) 차이 때문입니다.이번 글은 전선 외경이 어떻게 단가와 시공성에 영향을 주는지실무 경험 + 비교표 중심으로 정리해봤습니다.📐 외경(외피 포함 직경)이 중요한 이유배관 시공성외경이 굵으면 덕트나 CD관에 안 들어감무게/운송성외경 커지면 릴 사이즈 증가유연성굵은 외경일수록 휘기 어렵고 시공 까다로움단가 상승외피 두께, 절연 두께 증가 → 재료비 증가감리 기준외경 두께 기준 만족 여부 체크됨🧪 예시 비교: CVV 2C × ..

전선 연결과 마감 / 터미널, 압착단자, 테이핑 요령 - 전선 기초 #14.

전선은 그냥 비틀어 감는 게 아니더라현장에서 전선을 연결할 일이 생기면“비틀고, 테이프로 감고, 끝!” 하는 경우가 종종 있죠.저도 한때는 그렇게 해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하지만 실제로 그런 부적합한 연결이 스파크·열·노이즈 문제의 시작이더라고요.그래서 이번엔 실무에서 사용하는전선 연결 방식, 압착단자 종류, 테이핑 마감 요령까지 정리해봤습니다.🛠️ 전선 연결 방법은 3가지방식설명사용처비틀기 + 테이핑가장 기본적인 수동 연결임시 배선, 간단한 전등 작업압착단자 사용전용 단자에 전선을 고정기기 단자, 분전반단자대/터미널고정형 연결, 유지보수 용이제어반, 산업 배선📌 어떤 방식이든 ‘확실한 접촉’과 ‘절연 마감’이 핵심입니다.🔩 압착단자 종류 요약종류설명사용 위치Y형 (포크형)나사 고정형 단자대용컨트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