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반응형

도체구조 2

연선 vs 단선 구조적 특성과 구부림 반영 기준 - 자재 용어 #09.

전선의 도체는 크게 단선(Solid)과 연선(Stranded)으로 나뉩니다.외형은 비슷해 보여도구조적 특성, 유연성, 구부림 반영 방식 등에서 완전히 다른 성질을 갖기 때문에현장 선택 기준이 매우 중요합니다.🪢 1. 단선(Solid Conductor)이란?하나의 굵은 구리선으로 구성된 도체입니다. 구조가 단순하고 전기적 특성이 안정적이며, 주로 정배선·고정배선용으로 사용됩니다.항목내용구조단일 굵은 구리선전도율매우 우수유연성낮음구부림 횟수제한적적용 예배전반 내부, 벽체 내 고정배선 등특징형태 유지력이 좋아 깔끔한 시공 가능🧶 2. 연선(Stranded Conductor)이란?가늘고 여러 가닥의 구리선을 꼬아 만든 구조입니다. 굴곡에 강하고 유연성이 좋아, 가동 배선이나 제어선, 멀티코어 전선 등에 널리..

단선 vs 연선 – 도체 구조의 차이와 실무 영향 - 전선 기초 #05.

전선도 심지가 다르다? 써보면 바로 느낌 옵니다전선을 만져보면 어떤 건 딱딱하고, 어떤 건 엄청 유연합니다.처음엔 그냥 굵기 차이인 줄 알았는데,알고 보니 전선의 심지 구조가 다르더라고요.바로 단선(Solid)이냐, 연선(Stranded)이냐의 차이!이번엔 이 둘이 어떤 구조이고, 실제로 어디에 어떻게 쓰이는지 정리해봤습니다.🧱 단선 vs 연선, 구조부터 다르다단선 (Solid)구리나 알루미늄 한 가닥으로 된 심선연선 (Stranded)얇은 도체 여러 가닥을 꼬아서 만든 구조📌 그냥 육안으로 봐도 구분됩니다: 단선은 깔끔하게 하나, 연선은 자르면 여러 가닥이 보임!🔍 장단점 한눈 비교항목단선 (Solid)연선 (Stranded)유연성낮음 (딱딱함)매우 높음전기적 손실낮음살짝 높음가격저렴약간 비쌈내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