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반응형

다심전선 2

EV 케이블의 다심 구조별 사양 비교와 적용 기준 - EV 전선 정보 #05.

🔋EV 케이블의 다심 구조별 사양 비교와 적용 기준EV 충전 전선은 단순한 단심(Single Core) 케이블뿐 아니라, 실제 사용 환경에서는 2심, 3심, 4심 이상 구성의 다심(Multi-core) 전선이 일반적입니다. 각 구조는 적용 분야, 절연 방식, 배선 방법, 가공 난이도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심 수에 따라 인증 조건이나 외경, 가격도 달라지게 됩니다.이번 편에서는 EV 케이블에서 자주 사용되는 1C, 2C, 3C, 4C 구성의 사양 비교와 실무 적용 기준을 정리합니다.🧩 1. 심(Core) 구조란?단심(Single Core, 1C): 도체 1개, 기본 전력 전송용다심(Multi Core): 2심 이상, 전력 + 제어 + 통신 라인 복합 포함 가능✅ EV 충전 인프라는 대부분 3C 이상 ..

케이블 색상 규칙 / 전선 색깔에도 다 이유가 있다 - 전선 기초 #10.

전선 컬러, 그냥 예쁘라고 있는 거 아닙니다전선 단면을 보면 빨강, 파랑, 노랑, 검정, 초록 등컬러풀한 심선들이 꽤 많습니다.예전엔 그냥 “이쁘네~” 정도로만 생각했는데…공부해보니 색깔마다 정해진 규칙이 있고,이걸 알고 있어야 전기 배선 실수도 줄이고,검토할 때도 실수를 방지할 수 있더라고요.이번 글은 전선 색상 규칙을 기준별로 정리해봤습니다.🎨 전선 색깔이 정해진 이유는?전기 흐름 방향 구분 (상, 중성선, 접지)접속 실수 방지 (특히 배선판, 분전함)점검/감리 대응 시 용이다심 케이블일수록 색상으로 심선 식별 필요📌 특히 KS, IEC, UL, JIS 모두 각자 컬러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프로젝트별로 기준에 맞춰야 합니다!⚡ 한국(KS) 기준 색상 규칙역할색상접지(E, PE)녹색/노랑 줄무늬중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