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반응형

고정배선 2

CV란? 전력선의 기본이 되는 구조 - 전선 용어 #23

전선 카탈로그나 견적서에서 “CV 3C x 2.5sq”, “CVT 3.5SQ x 4C” 같은 모델을 본 적 있으시죠?여기서 CV는 산업용 전력 배선의 기본이 되는 전선입니다.오늘은 CV 전선의 구조, 용도, 그리고 VCT와의 차이점까지 정리해볼게요!🧪 CV란?CV = Crosslinked polyethylene + Vinyl sheath즉,C =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XLPE)V = PVC 외피📌 구조 구성:도체 → XLPE 절연 (C) → PVC 외피 (V)🔍 CV 케이블의 특징정격 전압0.6/1kV절연XLPE (가교 PE) → 내열성, 절연성 우수외피PVC → 일반 실외 사용 가능전압 강하낮음 (절연 저항 높음)연기/유독성일반 PVC 외피라 제한 있음구조단심 (1C), 다심 (2C~4C), 연..

단선 vs 연선 – 도체 구조의 차이와 실무 영향 - 전선 기초 #05.

전선도 심지가 다르다? 써보면 바로 느낌 옵니다전선을 만져보면 어떤 건 딱딱하고, 어떤 건 엄청 유연합니다.처음엔 그냥 굵기 차이인 줄 알았는데,알고 보니 전선의 심지 구조가 다르더라고요.바로 단선(Solid)이냐, 연선(Stranded)이냐의 차이!이번엔 이 둘이 어떤 구조이고, 실제로 어디에 어떻게 쓰이는지 정리해봤습니다.🧱 단선 vs 연선, 구조부터 다르다단선 (Solid)구리나 알루미늄 한 가닥으로 된 심선연선 (Stranded)얇은 도체 여러 가닥을 꼬아서 만든 구조📌 그냥 육안으로 봐도 구분됩니다: 단선은 깔끔하게 하나, 연선은 자르면 여러 가닥이 보임!🔍 장단점 한눈 비교항목단선 (Solid)연선 (Stranded)유연성낮음 (딱딱함)매우 높음전기적 손실낮음살짝 높음가격저렴약간 비쌈내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