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내가 요즘 공부하는' 시리즈/실리콘(Silicone) 전선 정보

실리콘 전선의 대표 시험 항목: 내열성, 연화점, 절연저항 기준 - 실리콘 전선 정보 #15.

Wired Grafia 2025. 6. 18.

📚실리콘 전선의 대표 시험 항목: 내열성, 연화점, 절연저항 기준


실리콘 케이블은 고온 환경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 재질 특성 기반의 시험이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리콘 전선의 품질을 검증하기 위한 세 가지 대표 시험 항목인
내열성(Heat Resistance), 연화점 시험(Softening Point), 절연저항(Insulation Resistance)을 상세히 정리합니다.


🔥 1. 내열성 시험 (Heat Resistance Test)

📌 목적: 고온 상태에서 절연체가 구조를 유지하는지 확인

  • 조건: 150℃ ~ 200℃ 환경에서 7 ~ 14일 노출 후 물성 유지 여부 측정
  • 판정 기준: 균열 없음, 경도 변화 ±20% 이내
  • 적용 기준: UL3135, UL3068, UL3239 등 실리콘 전선군

🌡️ 2. 연화점 시험 (Thermal Softening Point / Melting Resistance)

📌 목적: 고온에서 절연체가 물리적 형상을 유지하는 능력 평가

  • 시험 방식: 압축 상태에서 200~250℃까지 온도 상승 → 변형 여부 확인
  • 기준값: 200℃ 이상에서도 압축 변형이 없어야 합격
  • 비고: 실리콘은 열가소성이 아닌 경화성 고무에 가까움

🔌 3. 절연저항 시험 (Insulation Resistance)

📌 목적: 실리콘 절연층이 전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지 측정

  • 조건: DC 500V 또는 1,000V 인가 → MΩ·km 기준
  • 기준값: 표준형 (≥ 50 MΩ·km) / 고절연형 (≥ 100~200 MΩ·km)
  • 적합 규격: UL3135, UL3239 등 실리콘 절연 전선 Style

📊 4. 실리콘 전선 시험 요약 표

시험 항목 기준 조건 판정 기준 해당 전선
내열성 150~200℃ / 7일 균열 없음, 경도 변화 ±20% UL3135, 3239
연화점 200~250℃ 형상 유지, 변형 없음 UL3068, 3135
절연저항 500V DC ≥ 50~100 MΩ·km UL3135, 3239

🧾 5. 실무 적용 팁

  • ✔ 고온 설비용 실리콘은 반드시 연화점 기준 확인 필요
  • ✔ 내열성과 절연저항이 모두 높아야 히터선, 온도선으로 적합
  • ✔ 연화점 시험은 절연 파괴 시험과 별도로 확인

📌 마무리 요약

실리콘 전선의 핵심은 단순한 유연성이 아니라 고온에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지에 달려 있습니다.
내열성, 연화점, 절연저항은 모두 실리콘 케이블의 기본 품질을 평가하는 핵심 시험이며, 설계 단계에서 반드시 시험 기준과 판정 조건을 사양서에 명시해야 합니다.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반응형
  • 핀터레스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