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내가 요즘 공부하는' 시리즈/실리콘(Silicone) 전선 정보

실리콘 케이블의 구조별 주요 단면 해설 (단심, 다심, 차폐형 비교) - 실리콘 전선 정보 #11.

Wired Grafia 2025. 6. 9.

📚실리콘 케이블의 구조별 주요 단면 해설

단심, 다심, 차폐형 비교


실리콘 케이블은 유연성과 고온 내성이 뛰어나 다양한 구조 형태로 제작되며, 구조에 따라 적용 가능한 산업과 전기적 특성이 달라집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리콘 전선의 세 가지 주요 구조인 단심(Single Core), 다심(Multi Core), 차폐형(Shielded)을 중심으로 단면 구조를 해설하고, 실무에서 자주 활용되는 조합별 특징과 적용 팁까지 공유합니다.


🧵 1. 단심 실리콘 케이블 (Single Core)

  • 🔸 구조: 1가닥 도체 + 절연
  • 🔸 장점: 가볍고 단순한 구조, 고온 구간 연결선 등에 적합
  • 🔸 적용 예: 전기히터, 실내 고온 배선, 의료기기 내부선
  • 🔸 규격 예시: UL3135 (300V), UL3239 (3kV~30kV)

🧶 2. 다심 실리콘 케이블 (Multi Core)

  • 🔸 구조: 복수 도체 각각 절연 + 외부 집합 외피
  • 🔸 장점: 배선 단순화, 다회로 처리에 용이
  • 🔸 주의: 단심 대비 외경 증가, 굴곡 반경 커짐
  • 🔸 적용 예: 기기 간 통신/제어선, 온도센서 연결선

🧲 3. 차폐 실리콘 케이블 (Shielded)

  • 🔸 구조: 도체+절연 위에 차폐층(Braid/Foil) + 외피
  • 🔸 장점: 외부 전자파(EMI) 차단, 정밀 신호 전송 가능
  • 🔸 적용 예: 제어 케이블, 의료 센서선, 자동화 설비
  • 🔸 차폐 방식: 알루미늄 Foil, 주석동 Braid 또는 복합 차폐

📊 4. 단면 구조 비교 표

구조 정격 전압 장점 단점 대표 규격
단심 300V~30kV 간단함, 고온 내성 외부 간섭에 취약 UL3135, UL3239
다심 300V 이하 다회로 처리, 실용성 외경 큼, 가공 어려움 UL2464 기반 커스텀
차폐형 300V~1kV EMI 차단, 신호 안정 비용 증가 UL2919, UL2517 등

🧾 5. 실무 적용 시 체크포인트

  • ✔ 고온용 단심: 도체 규격 + 절연 두께 확인 필수
  • ✔ 다심 케이블: 회로 수 증가 시 외경과 굴곡 반경 고려
  • ✔ 차폐형: EMI 민감 회로에는 복합 차폐 적용

📌 마무리 요약

실리콘 전선은 구조 형태에 따라 성능이 크게 달라지며, 단심은 간단한 고온 배선에, 다심은 복수 회로 제어에, 차폐형은 신호 안정성이 필요한 환경에 적합합니다. 실제 프로젝트나 설비 사양서를 구성할 때에는 구조 + 정격 + 시험 기준을 반드시 함께 고려해야 신뢰성 높은 설계를 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반응형
  • 핀터레스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