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네스(Harness) 도면 보는 법 ② 커넥터와 단자 기호 해석법
하네스 도면을 볼 때 커넥터와 단자 기호를 제대로 해석하지 못하면
전선 연결 방향, 핀배열, 단자 사양 등이 전부 엉킬 수 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하네스 도면에 자주 나오는 커넥터 명칭, 단자 기호, 핀 번호 표기 방식을
실무 중심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1. 커넥터는 어떻게 표기되나요?
하네스 도면에는 커넥터가 아래처럼 표기됩니다:
- 명칭 (Code): CN01, C001, CONN-A 등
- 핀 수 (Pin Count): 2P, 8P, 16P 등
- 형상: 도면상 사각 박스로 표시되며 핀 번호가 좌우 또는 상하로 배열됨
- 종류: 수 커넥터(Male), 암 커넥터(Female) 구분됨
예시 도면:
[ CN01 ]
┌─────────┐
│ 1 2 │
│ 3 4 │
└─────────┘
✅ 사각형 박스는 실제 하우징 모양과 동일하지 않으며,
핀이 배치되는 구조를 단순화한 표현입니다.
🔩 2. 단자는 어떻게 표시되나요?
하네스 도면에서는 전선 끝단에 어떤 단자가 사용되는지 다음과 같이 표기합니다:
- 단자명 (Terminal Name): T-110, 187F, 110M, F crimp 등
- 종류:
- 암(Female): 보통 하우징에 삽입
- 수(Male): 삽입되는 쪽에 사용됨
- 압착 조건: CRIMP, WELD, SOLDER 등의 표기 존재
- 사양 기호: A, B, M, F로 수/암 구분하거나 사이즈 분류
✅ 도면상에는 T-187F CRIMP 식으로 표기되며,
단자 규격표와 함께 확인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 3. 핀 번호는 어떻게 해석하나요?
하네스에서 핀 번호는 전선의 정확한 위치 지정에 반드시 필요합니다.
- 표기 예시: Pin No. 1, #3, CN01-4 등
- 도면 연결선 옆에 적히며, 커넥터 박스 안에 번호가 들어감
- 대부분 왼쪽 위 → 오른쪽 아래 방향 또는 상단 → 하단 방향으로 번호가 증가
- 단자마다 핀번호가 다르기 때문에, 도면 오류 시 작업자 혼란 발생
✅ 설계자는 커넥터 핀번호 기준이 실제 하우징 사양서와 일치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4. 도면 기호 요약 정리
기호/코드 | 의미 및 용도 |
CN01 | 커넥터 코드명 (Connector No. 01) |
4P | 4핀 커넥터 |
187F | 6.3mm 규격 Female 단자 |
CRIMP | 크림핑 작업을 의미 |
CN01-2 | 커넥터 CN01의 2번 핀에 연결 |
SHL-3P | 3핀 하우징(예: Sumitomo Housing Label) |
T-110M | 110규격 수 단자 |
GND / VCC | 접지 / 전원 회로 용어 |
🧠 5. 실무에서 자주 묻는 질문
Q. 단자 사양은 어디서 확인하나요?
→ 도면 외에도 반드시 단자 스펙시트(카탈로그)를 함께 참고해야 합니다. 제조사별로 같은 명칭이라도 사이즈나 구조가 다릅니다.
Q. 핀 번호 순서를 바꾸면 안 되나요?
→ NO. 핀배열이 바뀌면 전기 신호가 엉키고, 하네스 전체를 재작업해야 할 수 있습니다.
Q. 도면에 단자명이 없으면 어떻게 하나요?
→ 반드시 설계자에게 문의하거나 사양서를 첨부 요청해야 합니다. 단자 누락은 가장 흔한 설계 실수입니다.
✅ 마무리 정리
하네스 도면은 ‘선을 따라가는 것’뿐 아니라,
각 커넥터와 단자 기호를 정확히 읽을 수 있어야
실제 조립, 검수, 불량 분석까지 연동이 됩니다.
다음 편에서는 하네스 도면에서 자주 보게 되는
2D 도면과 3D 도면의 차이를 시각적으로 비교해서 소개해드릴게요.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한눈에 보는' 하네스 정보 > 도면 해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네스(Harness) 도면 보는 법 ③ 2D 도면과 3D 도면의 차이점 - 하네스 도면 해석 #10. (4) | 2025.05.11 |
---|---|
하네스(Harness) 도면 보는 법 ① 배선 경로와 분기 이해하기 - 하네스 도면 해석 #08. (2) | 2025.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