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 외피를 보면 길게 인쇄된 숫자, 기호, 문장들이
반복되며 적혀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제품의 사양, 인증 여부, 제조사 정보 등을 나타내는
중요한 실무 식별 코드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인쇄 정보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실무에서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를 정리해보겠습니다.
🔍 1. 기본 인쇄 항목 구성
일반적으로 케이블 외피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포함됩니다:
항목 | 예시 | 내용 |
규격명 | UL2464, 60227 IEC 53 | 해당 전선이 따르는 규격명 |
도체 사양 | 7/0.20mm², 24AWG | 도체 구조 및 단면적 |
정격 | 300V 80°C | 사용 전압, 온도 한계 |
인증마크 | UL, CE, VDE 등 | 규격 인증 여부 |
제조사명 | LS Cable, TMC 등 | 생산사 표시 |
환경 마크 | RoHS, HF, LSZH 등 | 친환경 여부 |
제품에 따라 “기호 - 숫자 - 단어” 순서로 조합되어 있으며, 반복 인쇄되는 형태입니다.
🧪 2. 실제 인쇄 예시 해석
예시 1:
AWM 2464 24AWG 300V 80°C E123456 RU CL3 FT1 RoHS
AWM 2464 | UL 인증 전선 Style No. |
24AWG | 도체 굵기 |
300V 80°C | 정격 전압/온도 |
E123456 | UL 인증 제조사 등록번호 |
RU | Recognized Component 마크 |
CL3 | NEC 분류 (Class 3 회로용) |
FT1 | 난연성 시험 등급 |
RoHS | 환경 규제 대응 여부 |
예시 2:
60227 IEC 52 2x0.75mm² 300/300V LS Cable - RoHS
60227 IEC 52 | 국제 규격 번호 (IEC) |
2x0.75mm² | 2심, 0.75mm² 도체 |
300/300V | 정격 전압 |
LS Cable | 제조사 |
RoHS | 환경 인증 표시 |
🧰 3. 인쇄 정보로 확인 가능한 실무 정보
- 🔍 인증 유무: UL/CE/VDE 마크 확인 → 인증 제품 여부 판단
- 🔍 정격 확인: 전압·온도 초과 사용 방지
- 🔍 도체 구조 확인: 설계/납품 조건 충족 여부
- 🔍 제조사 추적: 품질 이슈 발생 시 제조사 확인 가능
- 🔍 환경 조건 확인: RoHS, LSZH 등 사용 장소 적합성 판단
⚠️ 4. 실무 오류 사례
사례 | 원인 |
인쇄는 UL2464인데 실물은 미인증품 | 저가 모조품 사용, 외피만 인쇄 후 내부 불량 |
80°C 제품을 105°C 환경에 사용 | 정격 미확인 |
CL2 제품을 Class 3 환경에 설치 | NEC 분류 오해 |
‘HF’ 표기 없는데 밀폐공간 사용 | 할로겐 여부 착각 |
※ 특히 중국산 OEM 제품은 외피 인쇄만 모방하고,
실제 내용물은 인증 기준을 미충족하는 경우가 있으니 성적서 병행 확인 필수
✏️ 실무자가 자주 묻는 질문
Q. ‘E123456’ 같은 숫자는 뭔가요?
→ UL 인증 제조사 등록번호입니다. UL 웹사이트에서 제조사 조회 가능.
Q. 인쇄 내용이 지워졌는데 문제 없나요?
→ 정격이나 인증을 확인할 수 없다면 교체 권장. 특히 납품용 전선은 인쇄 유지 상태 중요.
Q. 제품 인쇄에 RoHS라고 되어 있으면 다 안전한가요?
→ 표기만으로는 미확인. 반드시 환경 성적서(DoC 또는 MSDS)로 물질 확인이 필요합니다.
📌 정리
- 케이블 외피 인쇄는 실무자에게 사양과 인증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코드입니다
- 규격, 정격, 도체 구조, 제조사, 환경 대응 등을 모두 포함하므로, 단순히 넘기지 말고 확인 습관화 필요
- 특히 납품, 시공, 품질 클레임 등 실무 상황에서 매우 중요한 판단 근거가 됩니다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반응형
''오늘의' 시리즈 > 자재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폐율(Coverage)의 의미와 측정 방식 - 자재 용어 #14. (0) | 2025.06.06 |
---|---|
LSZH vs FR-PVC vs HFFR 소재 비교와 선택 기준 - 자재 용어 #13. (0) | 2025.06.04 |
실드 케이블 내 드레인 와이어의 역할과 사양 - 자재 용어 #12. (0) | 2025.06.02 |
동선의 표면처리 종류와 기능 - 자재 용어 #11. (0) | 2025.05.30 |
도체 굵기: AWG vs mm² 환산표 및 활용 팁 - 자재 용어 #10. (0) | 2025.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