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L1061 – 소형 기기용 단심 전선의 최소 구조 해설
오늘 정리하는 UL1061은
지금까지 다뤄온 UL1007, UL2464, UL20276 등과는
조금 다른 성격을 가진 전선입니다.
UL1061은 소형 기기, 모듈, 커넥터 배선에 최적화된 초소형 단심 전선으로,
특히 커넥터 핀헤더용 배선, 점퍼케이블 제작, PCB간 연결선 등에
거의 필수처럼 사용됩니다.
작지만 인증 기준은 엄격하고,
VW-1 연소시험, 내전압 테스트도 모두 충족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 감리나 승인 과정에서도 무시할 수 없는 전선이었어요.
이번 69편에서는
UL1061의 구조, 정격, 도체 구성, 감리 대응 방법까지
공유해보겠습니다!
🧵 1. UL1061 전선이란 무엇인가?
UL1061은 UL758 기준으로 등록된 AWM 전선 중,
소형/초소형 단심 기기 배선용 전선을 의미합니다.
항목 | 내용 |
STYLE 번호 | UL1061 |
구조 | 단심 연선 + PVC 절연 |
사용 범위 | 모듈 배선, 핀헤더 점퍼선, PCB 인터커넥션 |
정격 전압 | 300V |
정격 온도 | 80°C (표준) |
연소시험 | VW-1 연소 시험 필수 |
📌 특징은 굵기 대비 절연이 얇고 외경이 매우 작다는 점입니다.
덕분에 소형 커넥터에 매칭하기 좋지만, 외피 손상에 민감한 편입니다.
🛠️ 2. 기본 구조 설명
UL1061의 전선 단면은 다음과 같습니다:
[ PVC 외피 ]
┗━ [ 연선 도체 (주석도금 가능) ]
도체 | 연선 (7/0.127, 11/0.16 등), 주석도금 옵션 |
절연 | PVC, 0.3~0.41mm 이상 |
외경 | AWG에 따라 Ø0.9mm ~ 1.5mm 정도 |
색상 | 검정, 적색, 황색, 청색 등 다양 |
📌 대량 생산용 전선은 색상 구분 대신 번호 인쇄 처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3. 정격 전압 및 시험 기준
전압 정격 | 300V (AC/DC 공통) |
온도 정격 | 80°C 연속 사용 기준 |
연소 시험 | VW-1 통과 필수 (UL1581 Sec. 1080) |
내전압 시험 | 도체-외부간 1500V 이상 견디기 |
📌 VW-1 인쇄 누락은 감리에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라,
외피에 마킹이 정확히 들어가야 합니다.
📏 4. UL1061 AWG별 구조 비교
UL1061은 다양한 AWG 사이즈로 생산되지만,
주로 AWG 30~20 사이의 가는 선심을 사용합니다.
AWG | 도체 구성 (연선) | 절연 외경 (mm) | 특징 |
30 | 7/0.102 | 약 0.9 | 초소형 모듈용 |
28 | 7/0.127 | 약 1.0 | 핀헤더 점퍼선 표준 |
26 | 7/0.16 | 약 1.2 | PCB간 신호선 연결 |
24 | 11/0.16 | 약 1.3 | 센서 신호선 |
22 | 17/0.16 | 약 1.5 | 소형 전원 배선 |
📌 AWG 28이 핀헤더, 듀퐁 케이블 제작용으로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
🔌 5. 커넥터 대응 규격 정리
UL1061은 소형 커넥터 핀에 체결하기 위한 배선으로 자주 사용되는데,
대표적인 대응 커넥터 규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커넥터 종류 추천 | UL1061 사이즈 |
2.54mm 핀헤더 (듀퐁 타입) | AWG 28 |
2.0mm 핀헤더 (XH 타입) | AWG 28~30 |
1.25mm 핀헤더 (ZH 타입) | AWG 30 |
1.0mm 핀헤더 (GH, DF13 등) | AWG 30~32 |
JST PH 커넥터 | AWG 28~30 |
📌 외경이 크면 삽입이 안 되고,
외경이 너무 작으면 접촉 불량이 발생하니
커넥터 스펙에 따른 정확한 AWG 선정이 중요합니다.
🛡️ 6. 감리 대응 체크포인트
UL1061 감리 시 필수로 확인해야 하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외피 마킹 | "AWM STYLE 1061 80°C 300V VW-1 EXXXXX" |
VW-1 시험 통과 여부 | 연소시험 성적서 필수 제출 |
외피 두께 | 규정치 이상 유지 (약 0.3~0.41mm) |
도체 구성 | 연선 규정 준수 (7/0.127, 11/0.16 등) |
샘플 제출 | 마킹 확인 가능한 1m 이상 준비 |
📌 UL1061은 특히 외피가 얇아 연소시험 탈락 위험이 높으므로,
성적서 확보 및 마킹 인쇄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 7. UL1061 실물 구조 분석
UL1061 전선을 실제로 보면 구조가 굉장히 심플합니다.
하지만 작은 차이 하나가 감리 통과 여부를 좌우할 수 있습니다.
기본 구조
[ PVC 절연 (약 0.3~0.4mm) ]
┗━ [ 연선 도체 (주석도금 가능) ]
도체 | 연선, 일부는 단선 옵션 가능 |
절연 | PVC 열가소성 수지, RoHS 대응 가능 |
외경 | 매우 슬림 (약 0.9~1.5mm) |
유연성 | 매우 좋음 (특히 연선 사용 시) |
📌 구조가 단순한 만큼 외피 두께, 도체 구성이 미세하게 어긋나도 감리에서 불합격할 수 있습니다.
🧰 8. 주요 적용 사례
UL1061은 워낙 소형 배선이 많아, 여러 분야에 광범위하게 쓰입니다:
전자제품 내부 | 모듈간 신호선 연결 (ex: 터치모듈) |
소형 제어기기 | 리미트스위치, 소형 PLC 배선 |
핀헤더 연결 | 듀퐁 점퍼케이블, PH, XH 커넥터 연결선 |
측정/센서 배선 | 온도센서, 광센서 배선선 |
컴퓨터 부품 | 메인보드 전송선, 쿨러 RPM 신호선 |
📌 특히 핀 간격 2.54mm 이하에서는 UL1061이 사실상 기본 전선으로 간주됩니다.
🎨 9. 전선 색상 분류 방법
UL1061은 실무에서 설치 편의를 위해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되며,
보통 아래와 같이 관리합니다:
검정 | GND, COM |
빨강 | 전원 (+V) |
파랑 | 신호선 1 |
노랑 | 신호선 2 |
녹색 | 접지선 (FG) |
흰색 | 제어 신호 보조선 |
회색 | 통신보조선, 예비선 |
📌 대량 생산시에는 번호 인쇄(1~20번) 로 대체하는 경우도 있는데,
감리 대응에는 색상 or 번호 체계 명시가 요구됩니다.
📎 10. UL1061 설계 적용 실전 팁
UL1061을 설계할 때는 외형 크기와 배선 경로를 고려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커넥터 호환성 | 핀 피치 (간격) 확인 후 AWG 결정 |
외경 관리 | 케이블 트레이, 배관 통과 가능성 고려 |
굴곡 반경 | 최소 굴곡 반경 = 외경 × 6~8배 이상 |
외피 색상 구분 | 설치/유지보수 편의성을 위해 필수 |
예비선 확보 | 신호선 수보다 1~2개 여유 배선 권장 |
📌 UL1061은 워낙 가는 선이기 때문에,
외피 손상 방지를 위해 트레이 깔때기(인출구) 설계도 중요합니다.
⚠️ 11. 감리 및 설치 시 자주 나오는 실수
실수 유형 | 설명 | 결과 |
VW-1 마킹 누락 | 외피에 VW-1 문구 없음 | 감리 반려 |
도체 연선 오차 | 7/0.127 → 7/0.10 등 오차 | 규격 불일치 |
절연 두께 부족 | 감리 성적서 통과 불가 | 탈락 |
커넥터 미호환 | 외경 커서 핀 삽입 불가 | 설치 실패 |
색상 혼동 | 색상 정의 안 되어 오류 배선 | 오작동 |
📌 특히 VW-1 인쇄 누락과 도체 규격 오차는
서류/성적서로도 커버하기 어려운 치명적인 실수입니다.
🛠️ 12. UL1061 전선 결속 및 시공 주의사항
케이블 결속 | 벨크로 or 소프트 타이 사용 (케이블 타이 과압 금지) |
커넥터 크림프 | 적정 압착 + 과압 금지 (핀 손상 위험) |
배선 라우팅 | 굴곡 최소화, 트레이 충격방지 |
외피 보호 | 급격한 꺾임, 마찰 피하기 |
색상 관리 | 배선 다이어그램과 정확히 일치시키기 |
📌 특히 소형 커넥터용 배선은 단선 파손, 접촉불량 위험이 크기 때문에
초기 시공품질이 매우 중요합니다.
🧶 13. 정리하며 되짚어보는 핵심 포인트
이번 UL1061 전선을 학습하면서 느낀 건,
비록 작은 단심 전선이라도
구조, 마킹, 규격, 감리 기준을 명확히 이해하고 설계해야
실제로 산업 현장에서 문제없이 사용된다는 점이었습니다.
특히 소형 커넥터와 연결되는 선들은
조금만 외피 두께가 얇아지거나
도체 연선 규격이 다르면
바로 감리 탈락이 될 수 있다는 것도 체감했어요.
✅ 14. 실무 적용 체크리스트 (UL1061)
STYLE 번호 | UL1061 (UL758 AWM 등록) |
정격 | 300V / 80°C |
구조 | 연선 단심 + PVC 절연 |
외경 | 약 0.91.5mm (AWG 30 ~ 22 주류) |
VW-1 시험 | 통과 필수 (외피 인쇄 포함) |
마킹 규정 | “AWM STYLE 1061 80°C 300V VW-1 EXXXX” |
감리 대응 | 성적서 + 마킹 일치 + 도체 구성 일치 |
커넥터 적용 | 2.54mm, 2.0mm, 1.25mm 핀헤더 호환 |
주의점 | 외피 손상 방지, 과압 방지, 색상 구분 명확 |
설치 주의 | 굴곡 반경 확보, 배선 마찰 최소화 |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한눈에 보는' 전선 규격 > UL 인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UL3271. 고전압 내열 전선 설계 기준 해설 - 규격 정보 #71. (2) | 2025.05.20 |
---|---|
UL1332. FEP 절연 고온 전선(테플론 전선) 규격 해설 - 규격 정보 #70. (2) | 2025.05.19 |
UL2464. 다심 차폐 제어 전선 규격과 설계 활용법 - 규격 정보 #68. (1) | 2025.05.15 |
UL20276. 멀티미디어 차폐 전선 구조 해설 - 규격 정보 #67. (0) | 2025.05.14 |
UL1185. 마일라 차폐 단심 전선 구조 해설 - 규격 정보 #66. (0) | 2025.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