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베트남 인사이트/실무 정보

🛃 베트남 수입 통관 절차와 필요 서류 – 2025년 기준 무역 실무 가이드

Wired Grafia 2025. 5. 7.

“수입은 계약이 아니라 통관에서 진짜 시작됩니다.”
베트남에서 수입 업무를 처음 시작할 때 가장 자주 마주치는 고민은 통관 절차와 서류 준비입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베트남 수입 통관 절차를 구조화하여 정리하고, 실무 적용 포인트를 함께 안내합니다.


1. 🧭 베트남 수입 통관이란?

‘통관(Clearance)’이란, 해외로부터 물품을 들여올 때 세관을 통해 합법적으로 반입 허가를 받는 과정이다.
베트남 세관은 General Department of Vietnam Customs(GDVC) 산하 기관이며,
수입 통관은 온라인 기반 전자신고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 통관 지연은 납기, 재고, 계약 위반으로 연결되므로 사전 준비가 중요하다.


2. 📦 수입 통관 절차 요약

다음은 기본적인 수입 통관 프로세스다.

1단계 수입계약 및 선적 진행
2단계 선적서류 준비 (B/L, Invoice 등)
3단계 e-Customs 신고 (VNACCS 시스템)
4단계 세관 심사: 서류 심사 → 물품 검사(필요시)
5단계 세금 납부 (수입관세 + VAT 등)
6단계 통관 승인 → 물류창고 반출

이 전 과정을 현지 포워더 또는 수입자 자체가 담당할 수 있다.


3. 📂 수입신고 유형

베트남 세관은 아래 4가지 방식의 수입 신고를 운용한다.

유형 적용 상황
정식 수입 (A11) 일반적인 상업용 물품 통관
간이 수입 (A21) 샘플, 전시품, 무상 공급 물품 등
우편/특송 (E11) DHL, FedEx, EMS 등 소량 특송
전자상거래 (E21) 온라인 플랫폼 기반 수입 (한정 적용)

실무에서는 보통 A11 정식 수입 코드가 가장 널리 사용된다.


4. 📋 통관 단계별 흐름 자세히 보기

📌 선적서류 준비 선적서류 (B/L, Invoice, Packing List 등) 확보
📌 e-Customs 입력 VNACCS 시스템에 수입 정보 입력 (포워더 대행 가능)
📌 분류 (선언 등급) 초록/노랑/빨강 라인 분류 → 문서/검사 여부 결정
📌 세금 계산 관세, VAT, 환경세 등 산정
📌 세금 납부 국세청 연계 은행 통해 납부
📌 반출 승인 통관 승인 후, 물류창고 반출

5. 📑 필수 통관 서류 리스트

서류명 내용
Commercial Invoice 상업 송장
Packing List 포장 명세서
Bill of Lading (B/L) 선하증권
Import Declaration 수입 신고서
C/O (원산지 증명서) FTA 적용 시 필수
Catalog or Manual 일부 품목 요구
Import License (해당 시) 의료기기, 식품 등 별도 허가 필요
세금 납부 영수증 전자 납부 증빙

▶ 전자세금계산서는 통관 후 베트남 내 판매 시 별도로 발행


6. 📌 HS CODE 분류와 세율 적용

HS CODE는 수입품의 성격과 과세기준을 결정하는 핵심 코드다.

  • 8자리 기준 사용 (예: 85444929)
  • 세율은 HS Code에 따라 관세 + VAT + 환경세 등 달라짐
품목 HS CODE 예시 관세 VAT
구리케이블 85444929 3% 10%
가전제품 85098000 25% 10%
식품 19059010 15% 5%

💡 잘못된 코드 입력 시 과세 오류 → 추징 또는 지연 발생 가능


7. 🌍 원산지 증명서(C/O)

FTA 혜택(관세 감면)을 받기 위해서는
원산지 증명서 (C/O Certificate of Origin) 제출이 필수다.

유형 주요 FTA
C/O Form E 중국 – 아세안 FTA
C/O Form AK 한-아세안 FTA
C/O Form AJ 한-일-아세안 FTA
C/O Form VJ 한-베트남 양자 FTA
RCEP 2022년 발효, 확대 적용 중

💡 서명·직인·발행기관 일치 여부를 반드시 사전 점검 필요


8. 🧾 수입 면세·감세 조건

다음과 같은 경우는 관세 면제 또는 감세가 가능하다.

항목 내용
샘플 또는 무상공급 일정 금액 이하 신고 시 면세 가능
수출용 원자재 수출 전용 목적 → 면세 처리 가능 (조건부)
기계설비 신설공장 설비 → 5년간 감세/면세 가능
R&D용 장비 사전 등록 시 면세 허용 가능성 존재

▶ 사전에 신청하거나 조건 충족 입증이 필요하므로 통관 전 준비 중요


9. ⚠️ 통관 지연 사유 및 대응 방안

사유 해결 방안
HS Code 오분류 관세사 또는 세관 협의 통해 재조정 요청
세금 계산 오류 재신고 및 납부 차액 조정
C/O 오류 발급기관 정정 또는 추후 보완 신청
서류 미비 전자자료 제출 + 공문 보완 대응
검사 선정 검사일 조율 + 입회 확인 필수

💡 노랑·빨강 라인으로 분류될 경우, 검사까지 수일 지연 가능


10. ✅ 실무 적용 체크리스트

HS CODE 정확히 확인
통관 전 세금 계산 시뮬레이션 완료
선적서류 완비 및 스캔본 확보
수입허가 여부 사전 확인
FTA 적용 가능성 및 C/O 보완
VNACCS 신고 담당자 협의
세관 심사 시 대응 자료 준비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반응형
  • 핀터레스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