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반응형

3c전선 2

EV 케이블의 다심 구조별 사양 비교와 적용 기준 - EV 전선 정보 #05.

🔋EV 케이블의 다심 구조별 사양 비교와 적용 기준EV 충전 전선은 단순한 단심(Single Core) 케이블뿐 아니라, 실제 사용 환경에서는 2심, 3심, 4심 이상 구성의 다심(Multi-core) 전선이 일반적입니다. 각 구조는 적용 분야, 절연 방식, 배선 방법, 가공 난이도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심 수에 따라 인증 조건이나 외경, 가격도 달라지게 됩니다.이번 편에서는 EV 케이블에서 자주 사용되는 1C, 2C, 3C, 4C 구성의 사양 비교와 실무 적용 기준을 정리합니다.🧩 1. 심(Core) 구조란?단심(Single Core, 1C): 도체 1개, 기본 전력 전송용다심(Multi Core): 2심 이상, 전력 + 제어 + 통신 라인 복합 포함 가능✅ EV 충전 인프라는 대부분 3C 이상 ..

심선 수(C)의 의미 / 1C, 2C, 3C… 뭘 의미하는 걸까? - 전선 기초 #07.

전선 이름에 꼭 붙는 C 숫자, 알고 보면 구조 설명서케이블 공부하면서 전선 이름 뒤에 자주 보이는‘2C’, ‘3C’, ‘4C’ 같은 코드, 다들 한 번쯤 봤을 겁니다.예 CVV 2C x 1.5, VCTF 3C x 0.75 이런 식으로요.저도 처음엔 그냥 ‘뭔가 규격이겠지’ 하고 넘겼는데,알고 보니 이건 전선 구조를 말해주는 중요한 정보더라고요.이번 글에서는 전선에서 말하는 심선(Core) 수의 개념과실제로 어디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깔끔하게 정리해봤습니다.🧵 ‘C’는 Core의 약자, 즉 심선 수전선에서 말하는 ‘심선’은 도체 + 절연이 된 가닥 하나하나를 말합니다.전기적으로 분리된 선의 수라고 보면 돼요.표기의미1C단심선, 즉 1가닥2C2가닥 → 예: L, N3C3가닥 → 예: L, N, E(접지)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