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반응형

전선재질 2

실리콘 vs TPE vs EPDM 전선 구조 비교 - 실리콘 전선 정보 #04.

📚실리콘 vs TPE vs EPDM 전선 구조 비교실리콘 전선은 고온에 강하고 유연하지만, 실무 현장에서는 종종 TPE, EPDM 계열의 전선과 비교되곤 합니다. 이들 모두 고온 배선에 쓰이는 대표적인 고무류 전선이며, 유사해 보이지만 구조적 특성과 적용 환경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실리콘(Silicone), TPE, EPDM 전선의 구조적 특성과 가공성, 설치 환경을 실무 기준으로 비교 정리해보겠습니다.🧩 1. 세 가지 절연 재질 기본 특성 항목 Silicone TPE EPDM 온도 정격-60~200℃-30~105℃-40~150℃유연성매우 우수우수보통내유성약함보통우수내마모성낮음중간중간내후성우수중간우수난연성좋음보통보통가격중~상중중✅ 실리콘은 유연성과 내열성에 강점, EPDM..

전선에 쓰이는 절연체 종류 비교 (PVC, XLPE, 고무, LSZH) - 전선 기초 #21.

전선 성능은 절연체가 결정한다전선을 자르면 속에 있는 구리선(도체)만큼 중요한 게바로 절연체(Insulation)입니다.예전엔 그냥 “PVC는 보통이고, XLPE는 좋다더라” 정도로만 알고 있었는데요,실제로는 절연체에 따라 전선의 용도, 가격, 내구성, 난연성, 설치성까지 전부 달라지더라고요.이번 글은 전선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PVC, XLPE, 고무(Rubber), LSZH 절연체에 대해 비교 정리해봤습니다.🧪 1. PVC (Polyvinyl Chloride)특징가장 흔한 절연재, 경제성 우수온도 등급-15℃ ~ 70℃ or 90℃장점가공 쉬움, 저렴함, 범용성단점연소 시 유독가스 발생 (할로겐 포함)📌 대부분의 실내용 저전압 전선은 PVC 절연을 사용합니다.예: CVV, VCTF, H05VV-F?..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