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반응형

전선스펙해석 2

UL, CPR, KS, IEC / 미국·유럽·한국 전선 인증 체계 비교표 - 전선 인증 #34.

인증 로고만 보고 판단하지 말자! 나라마다 기준이 전혀 다릅니다전선 공부를 하다 보면 꼭 마주치게 되는 네 가지 인증,UL, CPR, KS, IEC.처음에는 “UL이면 좋은 거고, CPR이면 유럽 거고, KS면 국산이구나…”정도만 알고 있었는데요,실제로는 이 네 인증이 기준의 목적도, 범위도, 적용 방식도 전부 다르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이번 글에서는미국(UL), 유럽(CPR), 한국(KS), 국제(IEC)의 전선 인증 체계를목적 / 강제성 / 난연 기준 / 시험방식 등으로 비교해드릴게요.📦 인증 체계별 요약 비교표구분ULCPRKSIEC적용 국가미국 중심EU (유럽연합)대한민국전 세계 기준인증 목적제품 안전성건축물 화재안전제품 규격 통일표준 기준 제시적용 분야기기 내 배선, 리드선건축용 전선전력/제어/..

LSZH vs FR-PVC vs HFFR (난연 소재 비교와 선택 전략) - 전선 인증 #32.

감리, 설계, 안전까지 좌우하는 소재 선택! 가격 말고 성능을 먼저 봅시다이제 ‘전선은 불에 잘 타지 않아야 한다’는 건 기본 상식이 되었습니다.하지만 실제 전선을 고를 땐 LSZH / FR-PVC / HFFR이라는비슷한 듯 다른 난연 전선이 세 종류나 등장합니다.저도 처음엔 다 똑같이 ‘불에 잘 안 타는 거’라고 생각했는데,공부해보니 이 세 소재는 기능도, 적용 기준도, 비용도 완전히 다르더라고요.이번 글에서는세 가지 난연 전선 소재의 정의, 차이, 선택 기준, 감리 대응 요령까지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LSZH (Low Smoke Zero Halogen)정의연기 적고, 유독가스 없는 무할로겐 난연 소재기준IEC 60332 / IEC 60754 / IEC 61034 통과장점인체·설비에 안전, 감리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