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반응형

전선색상규정 2

EV 케이블의 색상 규정 및 회로 식별체계: SAE, IEC, OEM 기준 비교 - EV 전선 정보 #19.

🔋 EV 케이블의 색상 규정 및 회로 식별체계: SAE, IEC, OEM 기준 비교EV 케이블 설계 시 단순히 규격이나 성능뿐 아니라 색상(Color Code)과 회로 식별 체계 역시 필수 요소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EV 전선의 색상 지정에 대한 SAE, IEC, 주요 OEM 규정을 비교하고,실무에서의 색상 분류 및 인쇄 방식까지 실질적인 기준을 정리합니다.🎨 1. 색상 규정이 중요한 이유차량 내부 하네스, 충전선, 트레이 케이블 등에서 혼선 방지다심 케이블의 회로 식별 및 유지보수 간소화고전압 회로는 국제적 색상 규정을 따라야 안전성 확보🧭 2. SAE 색상 규정 (J1128 / J1772 기반)ORANGE – 고전압 회로 (전기모터, 배터리)BLACK – 접지 (GND)RED – 12V/24V..

60227 IEC 52. 연선 구조 플렉시블 전선 해설 - 규격 정보 #52.

60227 IEC 52 – 연선 구조 플렉시블 전선 해설“가장 많이 휘어지는 전선은 무엇일까?”연선구조의 바위에 보호성, 유연성이 추가되고 신속과 가장차 가능한 ‘기본형’ 플렉시블 전선…그 기준이 고정되어 있는 규격이 바로 60227 IEC 52입니다.가장 많이 발생하는 유연구조가 포함된 규격으로, 보통 건설 공사, 개별, 내부 기기관 및 간단 시공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플렉시블 전선 규격이라 보시면 됩니다.고정과 유연성, 건설적 시공성, 단가 보도 가능성 추구로 넘어가는 IEC 52 전선의 개념과 규격 관련 목차를 첫 포스트에서 종합적으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1. 기본 구조와 특징60227 IEC 52는 단심 전선이 아닌, 연선(Stranded) 구조를 가진 플렉시블(Flexible) 전선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