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반응형

도체종류 2

동선의 표면처리 종류와 기능 - 자재 용어 #11.

도체의 기본 재료는 '구리(Copper)'지만,그 표면에 어떤 처리를 하느냐에 따라산화 저항성, 납땜성, 전도율, 내식성 등이 달라집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실무에서 자주 접하는동선의 표면처리 방식과 그 기능, 적용처를 정리해보겠습니다.🧵 1. 기본 구조: Bare vs Coated분류표면 처리내용Bare Copper없음 (순수 연동)산화에 취약, 전도율 최상Tinned Copper주석 도금납땜성 우수, 산화방지Silver-Plated Copper은 도금고주파 대응, 전도율 우수Nickel-Plated Copper니켈 도금고온·내식 환경 대응🔍 2. 표면 처리별 특징 비교 항목 Bare Tinned Silver-Plated Nickel-Plated 전도율◎○◎△납땜성○◎◎△ (고온 전용)내산화성×..

도체 사양: Tinned Copper vs Bare Copper vs CCA - 자재 용어 #05.

전선을 구성하는 가장 핵심 재료는 단연 도체(Conductor)입니다.하지만 실무에서는 도체의 종류에 따라내식성, 전도율, 납땜성, 비용 등에서 큰 차이가 나기 때문에,Tinned Copper / Bare Copper / CCA의 차이를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1. Bare Copper (연동, Bare Copper)도금 처리 없이 그대로 가공한 순수 구리선입니다. 전도성이 가장 우수하며, 다양한 전선의 기본 도체로 사용됩니다.재질순동(연동, Annealed Bare Copper)전도율매우 우수납땜성양호 (단, 산화에 주의)내식성약함 (공기 중 산화 발생)사용 예실내 고정 배선, 일반 전력선, 단가 민감 제품 등산화되면 표면이 거뭇해지고 납땜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보관이나 환경 조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