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반응형

도체굵기 3

도체 굵기: AWG vs mm² 환산표 및 활용 팁 - 자재 용어 #10.

전선 사양을 확인하다 보면,도체 굵기가 AWG로 표시된 것도 있고,mm² 단위로 표기된 것도 있습니다.두 기준은 국가·제품 종류에 따라 병행 사용되므로,정확한 환산과 해석 방법을 알고 있어야 실무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1. AWG와 mm²의 차이구분내용AWG (American Wire Gauge)미국식 규격, 숫자가 작을수록 굵음mm² (제곱밀리미터)국제적 단위, 도체의 단면적 기준예:AWG 24 ≒ 0.205 mm²AWG 10 ≒ 5.26 mm²AWG 숫자가 작을수록 굵고, 전류 허용량이 커집니다.🔄 2. 주요 AWG ↔ mm² 환산표AWG 도체 단면적 (mm²) 도체 외경 (mm) 300.05090.255280.08100.321260.1290.405240.2050.511220.3260.6..

AWG vs SQ / 미국식 vs 유럽식 도체 단면적 비교 - 전선 용어 #07.

전선 스펙을 보다 보면 도체 굵기를 표시할 때AWG 또는 SQ(mm²) 단위를 사용합니다.하지만 이 두 단위는 기준이 완전히 달라서 헷갈리기 쉽죠.오늘은 미국식 도체 단위인 AWG와 국제 표준 SQ 단위를 비교해볼게요.🧪 AWG란?AWG = American Wire Gauge미국식 전선 굵기 규격입니다.숫자가 작을수록 굵은 전선숫자가 클수록 얇은 전선예: AWG 10 > AWG 20 > AWG 30※ 동일한 차수라도 실측 굵기는 표준 규격표를 따라야 합니다.🧪 SQ(mm²)란?SQ = 단면적 mm²유럽, 한국, 국제 표준 IEC에서 사용하는 단위입니다.숫자가 클수록 굵은 전선예: 0.5sq 📏 이 값은 실제 도체 단면적(mm²) 을 기준으로 합니다.📊 AWG vs SQ 비교표 (주요 구간)AWG ..

도체 굵기 vs 외경 / 전선 굵기의 진짜 기준은? - 전선 기초 #08.

겉보기 두께가 진짜 굵기를 말하는 건 아니더라전선 보면서 "이게 더 두꺼워 보이는데 왜 오히려 전류는 더 못 흘리죠?"이런 생각 하신 적 있으신가요?저도 비슷했어요. 외피 두께는 더 두꺼운데, 실제 스펙은 낮은 경우들이 있더라고요.공부하다 보니, 그 이유는 바로‘도체 굵기’와 ‘외경’은 완전히 다른 개념이라는 거였습니다.이번 글은 두 개념을 구분해서 이해하고, 실무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정리해봤습니다.🔩 도체 굵기 = 전기 성능을 결정하는 핵심‘굵기’라고 하면 대부분 사람들이 전선 전체 두께를 떠올리지만,실제로 전류 흐름이나 전기 용량은 도체(Copper)의 굵기, 즉 단면적(㎟) 으로 결정됩니다.도체 단면적 (㎟)실제 구리심의 넓이허용 전류단면적에 비례AWG미국식 도체 굵기 단위 (숫자 작을수록 굵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