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반응형

감리포인트 2

UL2990. 온도퓨즈 내장형 제어선 구조와 적용 사례 해설 - 규격 정보 #76.

UL2990 – 온도퓨즈 내장형 제어선 구조와 적용 사례 해설이번에 정리한 UL2990 전선은조금 생소할 수도 있지만,온도퓨즈(thermal fuse)가 내장된 특수한 구조의 AWM 전선입니다.주로 전기히터, 가전제품, 전기매트, 모듈보호용으로 사용되며,📛 과열 발생 시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해주는 안전 기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이번 76편에서는UL2990 전선의 구조, 정격, 핵심 적용 사례, 감리 포인트를자세히 정리해보겠습니다.⚡ 1. UL2990 전선이란 무엇인가?UL2990은 UL758 AWM 스타일 중온도퓨즈(TCO, Thermal Cut Off)를 전선 내부에 포함하는 전선입니다.항목내용STYLE 번호UL2990정격 전압300V정격 온도105°C, 일부 125°C 옵션구조단심 or 다심 전선 ..

케이블 외경에 따라 바뀌는 단가와 배관 시공성 - 전선 원가 #26.

단면적은 같아도 외경이 달라지면 전부 바뀝니다예전에 저는 “CVV 2.5SQ는 다 똑같은 거 아닌가요?”라는 생각을 많이 했어요.그런데 막상 시공하거나 견적서를 비교하다 보면같은 규격인데 어떤 건 선이 두껍고, 어떤 건 얇고 유연한 거예요.왜일까요?정답은 외경(Outer Diameter) 차이 때문입니다.이번 글은 전선 외경이 어떻게 단가와 시공성에 영향을 주는지실무 경험 + 비교표 중심으로 정리해봤습니다.📐 외경(외피 포함 직경)이 중요한 이유배관 시공성외경이 굵으면 덕트나 CD관에 안 들어감무게/운송성외경 커지면 릴 사이즈 증가유연성굵은 외경일수록 휘기 어렵고 시공 까다로움단가 상승외피 두께, 절연 두께 증가 → 재료비 증가감리 기준외경 두께 기준 만족 여부 체크됨🧪 예시 비교: CVV 2C ×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