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전기포트, 간이 전열기, 사무기기 뒷면을 보면
꼭 따라오는 전선이 있죠?
대부분 검은색에 두툼하고 말랑한 유연 전선, 그게 바로 VCTF입니다.
오늘은 소형 전기기기의 대표적인 전원선,
VCTF의 구조와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 VCTF란?
VCTF = Vinyl Cabtyre Flexible cord
- V: PVC 절연
- C: Cabtyre (연선 구조)
- T: Twisted (가닥을 꼬아서 구성)
- F: Flexible cord (연한 코드형 전선)
📌 구조 구성:
연선 도체 → PVC 절연 → 외부 트위스트 구조 → PVC 외피
💬 한마디로, 부드럽고 잘 구부러지는 플러그형 전선이라고 보면 됩니다.
📦 주요 특징
정격 전압 | 보통 300/300V |
구조 | 연선 도체 + 트위스트 코어 구조 |
도체 수 | 2C, 3C, 4C 등 |
외피 | 부드러운 PVC |
색상 | 검정, 회색, 흰색 등 다양 |
내열/내약품성 | 보통 수준 (고온용은 아님) |
🛠️ 실무 적용 예시
- 소형 전기기기 연결선 (프린터, 스피커 등)
- 탁상용 전열기, 조명기구 전원 연결
- 이동형 사무/산업 장비 전원선
- 노출 배선, 코드릴 등 유연한 배선 구간
📦 대표 스펙:
- VCTF 2C × 0.75sq
- VCTF 3C × 1.25sq
- 플러그 제작 시 자주 사용!
🔍 VCTF vs VCT
항목 | VCTF | VCT |
용도 | 소형 전기기기, 플러그 코드 | 산업용 설비, 기계 배선 |
구조 | 연선 + 코드 형태 (Flexible Cord) | 연선 + 굵은 외피 |
전압 | 300V급 | 600V급 |
유연성 | 매우 우수 | 보통 |
가격 | 저렴 | 중간 |
💡 외형이 비슷해도, 정격 전압과 구조 차이가 분명히 있습니다!
✅ 오늘의 요약
- VCTF = 유연한 코드형 전기기기 전선
- 플러그 제작, 소형 전원 배선에 최적
- 300V 이하, 부드러움이 필요한 환경에서 사용
👉 다음 포스팅은
전선 용어 #28: CVT란? – 연합형 전력선의 대표격
단심 CV 케이블을 연합 구조로 만든 CV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VT란? 연합형 전력선의 대표격 - 전선 용어 #28.
공장 배전설비나 고출력 장비를 설치할 때한 번쯤은 들어보게 되는 이름, CVT 케이블이 전선은 이름은 CV와 비슷하지만,실제로는 훨씬 더 굵고 강력한 고전류 대응용 연합형 전력선입니다.오늘은
wiredgrafia.tistory.com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반응형
''오늘의' 시리즈 > 전선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VVSB란? 복합 차폐형 제어선의 끝판왕 - 전선 용어 #29. (0) | 2025.05.07 |
---|---|
CVT란? 연합형 전력선의 대표격 - 전선 용어 #28. (2) | 2025.05.06 |
CVVS란? 차폐형 제어선의 스탠다드 - 전선 용어 #26 (0) | 2025.05.04 |
CVV란? 제어반 배선의 단골 전선 - 전선 용어 #25. (0) | 2025.05.03 |
VCT란? 고유연성 전선의 대표 모델 - 전선 용어 #24 (2)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