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한눈에 보는' 하네스 정보/품질 대응 정보

테이핑 & 튜브 작업 실수 유형과 위치 기준 정리 / 마감이 품질을 만든다 - 하네스 품질 대응 #33.

Wired Grafia 2025. 6. 5.

테이핑 & 튜브 작업 실수 유형과 위치 기준 정리

- 마감이 품질을 만든다 -


하네스 마감 작업은 단순한 “포장”이 아니라,
진동·마찰·열·오염으로부터 전선을 보호하는 핵심 공정입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테이핑 길이, 튜브 위치, 겹침 방식 하나로 인해
전체 제품이 불량 판정을 받는 일이 자주 발생하죠.
이번 편에서는 테이핑 & 튜브 작업의 실수 유형,
위치 기준, 작업자 주의사항
을 정리해드립니다.


🧻 1. 테이핑 작업 NG 유형 정리

NG 유형 증상 설명 주요 원인
길이 부족 도면 기준보다 짧음 → 고정 불량, 이탈 우려 L 치수 무시, 대충 감음
풀림 발생 끝단 들뜸, 테이프 풀려 있음 감는 방향 역방향, 마감처리 미흡
과잉 테이핑 필요 이상 감김 → 유연성 저하, 굵기 초과 작업자 과잉 대응
분기점 누락 Y/T 지점 테이핑 미비 → 배선 이탈 분기 위치 표시 미확인, 도면 누락
컬러 지정 미흡 고객 요구 컬러와 불일치 → 식별 불량 테이프 종류 혼동

테이핑 불량은 출하 후 흔히 발생하는 외관 클레임의 대표 사례입니다.


🔥 2. 열수축 튜브 작업 NG 유형 정리

NG 유형 증상 설명 주요 원인
수축 부족 튜브가 헐렁하거나 풀림 히터 온도 부족, 수축 시간 미흡
과수축 전선 눌림, 단자부 수축으로 락 안 걸림 과열로 재료 수축률 초과, 열 집중
위치 오류 수축 위치가 틀려서 보호 불량 도면 기준점 확인 안 됨, 눈대중 작업
미수축 튜브만 끼워놓고 수축 안함 작업 공정 누락 or 히터 고장
튜브 찢김 수축 중 튜브 터짐 열 집중 or 전선 끝단 날카로운 마감 미비

튜브 수축 작업은 히터 세팅 + 작업 거리 유지 + 시간 제어가 핵심입니다.


📏 3. 테이핑 & 튜브 위치 기준 정리

작업 위치 기준 내용 및 예시
커넥터 후방 30~50mm 하우징 뒤 배선 고정용 기본 테이핑
분기점 기준 전후 20mm Y 분기 지점 앞뒤 고정용 테이핑
열수축튜브 적용 위치 납땜부 or 크림핑부 외부 절연 보호용
클립 장착 전후 위치 진동 방지 목적 테이핑 or 튜브 사용
고객지정 마킹 위치 라벨 부착 포인트 → 배선 간 거리 기준 지정

✅ 위치는 도면에서 From CN01 50mm, At SPL1 등으로 지시되며,
작업표준서에도 동일하게 연동되어야 합니다.


🛠️ 4. 실무 예방 팁 – 작업자 기준

  • 테이핑 전 반드시 L 길이 확인용 눈금 자 사용
  • 테이프 감을 때 1/2겹 겹침 유지 + 마감 눌러 고정
  • 열수축 시 히터와의 거리 유지 (예: 5cm)
  • 수축 후 끝단 날카로움 확인 → 마무리 손질
  • 분기점, 고객 마킹 위치에는 식별 라벨 또는 컬러 구분 적용

✅ 테이프나 튜브는 “보이는 불량”이기 때문에,
시각적 완성도도 매우 중요합니다.


✅ 마무리 정리

하네스 테이핑 & 튜브 작업은
“단단히 감는다”가 아니라,
기준 길이, 위치, 재료별 특성을 지키는 것이 핵심입니다.

길이, 위치, 수축 정도 하나로도
납품 불량, 외관 클레임, 구조적 손상까지 이어질 수 있기에
정확하게, 반복 가능하게, 표준화되게 작업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다음 편에서는 클립 & 타이 체결 NG 사례와 위치 고정 기준을 정리해드릴게요!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반응형
  • 핀터레스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