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폐(Shielding)는 전선이 외부 전자파 간섭(EMI)을 차단하거나,
반대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노이즈가 외부로 퍼지는 걸
방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실무에서는 "이거 브레이드야? 포일이야?"라는 질문이 자주 등장하는데,
오늘은 Foil, Braid, Serve Shield의 구조적 차이와 장단점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 1. Foil Shield (포일 차폐)
알루미늄 호일 + PET 필름이 결합된 얇은 테이프 형태의 차폐층입니다.
드레인 와이어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고주파 간섭 차단 능력이 뛰어납니다.
재질 | 알루미늄 마일러 (Al-PET Tape) |
구조 | 나선형 또는 전체 랩핑 |
적용 | 통신선, 신호선, 제어선 등 |
장점 | 가볍고 가격 저렴, 고주파 차단 우수 |
단점 | 기계적 강도 약함, 반복 굽힘에 불리 |
대표 제품: 통신용 RS485, CAT5e, 제어용 CVVS 케이블 등
🔗 2. Braid Shield (편조 차폐)
구리선 또는 알루미늄선을 촘촘히 엮은 형태로 구성된 차폐 방식입니다. 구조적으로 튼튼하며, 저주파 차단과 기계적 보호 측면에서 우수합니다.
재질 | 주석 동선(TC), 연동(Bare), 알루미늄선 등 |
구조 | 교차 편조 (보통 60~95% 커버리지) |
적용 | 고출력 신호선, 산업용 제어선, 고주파 장비 |
장점 | 유연하고 강인함, 외부 충격에 강함 |
단점 | 가격 상대적으로 높고, 무게 있음 |
대표 제품: 마이크 케이블, 인버터 제어선, 고급 오디오 케이블
🧶 3. Serve Shield (연선 감기 차폐)
얇은 도선을 나선형으로 감아올린 형태로, 클래식한 방식이지만 지금은 비교적 드물게 사용됩니다.
저커버리지 구조로, 고급 아날로그 오디오나 특수 목적 전선에 가끔 사용됩니다.
재질 | 얇은 연동사 또는 주석 동선 |
구조 | 한 방향 감기 (Spiral Wrapping) |
적용 | 아날로그 신호선, 빈티지 케이블 등 |
장점 | 매우 유연함, 구조 단순 |
단점 | 차폐율 낮고 풀림 우려 있음 |
대표 제품: 클래식 오디오용 빈티지 케이블, 특수 계측기용 선재 등
📊 4. 차폐 방식 비교표
항목 | Foil Shield | Braid Shield | Serve Shield |
구조 | 테이프 랩핑 | 엮은 그물망 | 나선형 감기 |
주파수 대응 | 고주파에 우수 | 저주파에 우수 | 저주파 일부 |
차폐율 | 높음 (100%) | 중~고 (60~95%) | 낮음 (~60%) |
기계적 강도 | 약함 | 강함 | 약함 |
유연성 | 보통 | 중간~좋음 | 매우 좋음 |
가격대 | 저렴 | 중~고 | 중간 |
적용 예 | 신호선 | 인버터/오디오 | 특수 목적 아날로그 |
⚠️ 실무 팁
- EMI/노이즈가 큰 산업현장에서는 Foil + Braid 복합 차폐를 채택하기도 합니다.
- 드레인 와이어는 주로 Foil 구조에서 사용되며, 접지 또는 차폐 연결선으로 기능합니다.
- 차폐율은 커버리지(%)뿐 아니라, 결속 밀도, 접지 연결 상태 등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 실무자가 자주 묻는 질문
Q. Foil과 Braid를 같이 쓰는 이유는요?
→ 고주파는 Foil이, 저주파는 Braid가 강하기 때문입니다. 복합차폐로 넓은 대역 EMI에 대응 가능합니다.
Q. Serve Shield는 요즘도 쓰이나요?
→ 흔하지 않지만, 오디오 케이블이나 특수 계측 장비 등에서는 여전히 사용됩니다.
Q. Braid는 무조건 더 좋은가요?
→ 차폐율은 좋지만, 가격과 무게, 작업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정리
- 차폐 방식은 전기적 요구사항 + 기계적 요구사항 + 예산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고주파 → Foil, 저주파 + 구조적 안정성 → Braid, 유연성 필요 시 Serve도 고려 가능
- 복합 차폐는 EMI 환경이 심각한 산업현장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오늘의' 시리즈 > 자재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PE 소재: HDPE, LDPE 차이와 케이블 적용 예시 - 자재 용어 #06. (0) | 2025.05.19 |
---|---|
도체 사양: Tinned Copper vs Bare Copper vs CCA - 자재 용어 #05. (2) | 2025.05.16 |
실리콘 고무 전선: 고온 특성과 주의사항 - 자재 용어 #03. (2) | 2025.05.12 |
XLPE (가교 폴리에틸렌)의 특징과 적용 제품 - 자재 용어 #02. (2) | 2025.05.08 |
연질 PVC vs 경질 PVC의 차이와 적용처 - 자재 용어 #01. (0) | 202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