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한눈에 보는' 전선 규격/UL 인증 정보

UL1371. 고온 고유연 AWM 전선 규격 해설 - 규격 정보 #73.

Wired Grafia 2025. 5. 22.

UL1371 – 고온 고유연 AWM 전선 규격 해설

이번에 공부할 UL1371 전선은
기존에 다뤘던 고온 전선들과는 조금 다릅니다.
UL1371은
고온(125°C) 대응은 물론,
📦 극단적인 굴곡성(flexibility),🤸 고속 반복 구동 대응성까지 고려해 설계된
"고유연 AWM 전선"입니다.
특히 로봇 암, 케이블 체인, 이동형 모듈
수십만 번의 굴곡에도 견디는 배선이 필요한 곳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이번 73편에서는
UL1371의 기본 구조, 정격, 주요 특징, 적용 포인트를
체계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 1. UL1371 전선이란 무엇인가?

UL1371은 UL758 AWM 기준 중 하나로,
고온 125°C + 고유연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전선입니다.

항목내용
STYLE 번호UL1371
정격 전압300V
정격 온도125°C
구조연선 도체 + 고유연 PVC or 특수 화합물 절연
연소 시험VW-1 필수 (UL1581 기준)
주요 특성고속 굴곡성, 내구성, 고온 안정성

📌 특히 굴곡시험(CSA C22.2 No.210.2 기준)에서
수십만 회 이상 굴곡을 버틸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2. 기본 구조 설명

UL1371 전선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집니다:

[ 고유연 절연 (특수 PVC or 기타 폴리머) ]
 ┗━ [ 초연선 도체 (30AWG~18AWG, 주석도금) ]
도체매우 얇은 연선 다발 (ex: 19/0.1, 37/0.08)
절연고유연성 특수 PVC, TPE, 화합물 옵션
외경약 1.0~2.5mm (AWG에 따라 다름)

📌 초연선(multi-fine strand) 구조 덕분에
극단적인 굴곡에도 쉽게 끊어지지 않는 특성을 가집니다.


🔥 3. 전기적 정격 및 시험 기준

전압 정격300V
온도 정격125°C
연소 시험VW-1 통과 필수
굴곡 시험수십만 회 이상 굴곡 견디기 (테스트 기준 적용)

📌 VW-1 시험은 기본이고,
굴곡 시험 통과 여부가 실제 적용에서 훨씬 중요합니다.


📏 4. UL1371의 AWG별 구조 비교

UL1371은 굴곡성과 내구성을 위해
초미세 연선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AWG 도체 구성 (초연선) 절연 외경 (mm) 특징
307/0.1약 1.0초소형 모듈 배선용
2819/0.08약 1.1센서 연결선
2619/0.10약 1.2이동부 신호선
2437/0.08약 1.3로봇암 신호 배선
2219/0.16약 1.5제어 모듈 전원선
2026/0.16약 1.8소형 장비 전력 배선

📌 굵을수록 연선 수를 늘려 유연성을 유지하는 것이 핵심 설계 포인트입니다.


🛠️ 5. UL1371 주요 적용 분야

UL1371은 고정 배선이 아닌,
지속적 움직임이 예상되는 배선에 사용됩니다.

로봇 팔고속 왕복 구동 배선
자동화 설비슬라이딩 모듈 전원/신호 배선
케이블 체인다심 구동용 메인 배선
의료기기움직이는 어셈블리 내부 신호선
고속구동 장비이동형 카트, AGV 로봇 배선

📌 특히 케이블 체인 안에 넣는 배선에서는
UL1371 같은 초연선 전선이 기본입니다.


🖊️ 6. 감리 대응 체크포인트

UL1371 전선은 감리 시 다음 항목을 반드시 충족해야 합니다:

외피 마킹"AWM STYLE 1371 125°C 300V VW-1 EXXXXX"
VW-1 연소시험성적서 제출 필수
굴곡성 시험 (선택)고유연 인증 요청 시 필요
도체 연선 구성설계 도면과 연선 수/사이즈 일치
외경 및 절연 두께규정 이상 유지

📌 굴곡 시험 성적서까지 요구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로봇/반도체 자동화 라인용 납품에서는 요청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7. UL1371 실물 구조 해석

UL1371 전선은 내구성과 유연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초미세 연선 + 특수 고유연 절연으로 구성됩니다.

기본 구조

[ 고유연성 절연 (PVC계 or TPE계) ]
 ┗━ [ 초연선 도체 (다심 연선) ]
도체7/0.1, 19/0.08, 37/0.08 등 다심 초연선 구조
절연고연질 PVC, 특수 TPE 수지
외피 특성부드럽고 구부러짐이 뛰어남

📌 구조적으로 봤을 때,
도체는 쉽게 끊어지지 않고, 외피는 쉽게 갈라지지 않는 최적화된 설계입니다.


🛠️ 8. UL1371 굴곡성 특성 분석

UL1371이 가진 진짜 강점은 반복 굴곡 내구성입니다.

특성항목 기준
굴곡 시험 조건반경 6D, 수십만 회 이상
피로 파괴 저항고속 굴곡에서도 연속성 유지
외피 크랙 저항성굴곡 중 외피 균열 없음
굴곡 반경 기준외경의 6배 이상 유지 권장

📌 케이블 체인 내부에서도 100만 회 이상의 굴곡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초고속 이동장비에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 9. UL1371 설치 최적화 요령

UL1371은 설치할 때도 유연성을 살리면서 전선 손상 방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항목최적화 방법
트레이/체인 배선최소 굴곡 반경 확보
굴곡부 고정 피하기굴곡 예정 부위에 클립 고정 금지
케이블 체인 길이 관리장력과 처짐 균형 맞추기
고정 배선 경로이완된 곡선형 경로 설정

📌 유연성 높은 전선은 장력이 과도하면 오히려 절연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적당한 여유를 가진 라우팅이 핵심입니다.


📎 10. UL1371 설계 적용 전략

UL1371은 고유연 전선이기 때문에
설계 단계부터 유연성, 반복 굴곡, 고온 대응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굴곡 반경 확보최소 외경 × 6~8배 이상
외경 선택커넥터 핀, 체인 내부 공간과 호환 확인
장력 분산 설계장력 집중되지 않도록 클램프 분산
절연재 선택PVC보다 유연한 TPE 또는 복합재 선택 가능
색상 구분유지보수 편의성을 위해 컬러코딩 권장

📌 "로봇 배선"이라면 그냥 UL1371로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배선 경로, 굴곡 위치, 외피 강성까지 포함한 설계가 병행되어야 합니다.


⚠️ 11. 감리 및 시공 시 자주 발생하는 실수

굴곡 반경 부족과도한 꺾임 → 절연 파손
VW-1 마킹 누락외피 인쇄 불충분 → 감리 반려
도체 연선 불일치인증 구성과 실제 전선 차이 → 불합격
외경 초과체인, 커넥터 삽입 불가 → 설치 실패
외피 피로파괴장력 집중 → 장시간 사용 후 갈라짐

📌 UL1371 전선은 유연하지만
“마음껏 휘어도 절대 끊어지지 않는” 건 아니라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 12. UL1371 최적 배선 전략

항목최적화 방법
배선 길이 여유 확보왕복 이동 시 장력 흡수 역할
체인 삽입 시 배열꼬임 방지 위해 병렬 정렬
케이블 클립 장력 분산일정 간격으로 고정, 장력 분산
외피 보호 처리굴곡 시작점, 접점 주변에 보호튜브 적용
유지보수 고려색상 분리 + 마킹 라벨링 동시 적용

📌 특히 반복 굴곡 위치(=피로 집중 구간) 에는
예비 선 확보 또는 교체 용이한 설계 구조가 중요합니다.


🧶 13. 정리하며 되짚어보는 핵심 포인트

이번에 정리한 UL1371 전선은
단순히 고온 대응을 넘어서
“움직이는 전선”에 최적화된 구조를 갖춘 AWM 전선이라는 걸 확실히 알게 됐습니다.
초연선 구조로 굉장히 부드럽고,
케이블 체인이나 로봇 팔처럼 반복적인 굴곡이 필요한 곳에서도
내구성과 유연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이 특히 인상 깊었어요.


✅ 14. 실무 적용 체크리스트 (UL1371)

STYLE 번호UL1371 (UL758 AWM 등록)
정격300V / 125°C
구조초연선 도체 + 고유연 PVC or TPE 절연
굴곡 시험수십~수백만 회 반복 테스트 대응
연소 시험VW-1 통과 필수
마킹 규정"AWM STYLE 1371 125°C 300V VW-1 EXXXXX"
감리 포인트마킹 일치, 성적서 구비, 연선 구성 확인
추천 사용처로봇, 케이블 체인, 의료장비, 자동화설비
설치 포인트굴곡 반경 확보, 외피보호, 장력 분산
주요 리스크꺾임 집중 → 피로파괴, VW-1 마킹 누락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반응형
  • 핀터레스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